사진=이미지투데이
사진=이미지투데이



글로벌리포트


운동선수, 바리스타, 간호사, 시각디자이너, 동화구연가, 제과제빵사, 은행원…. 한 중학교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런 직업들이 미래 선호하는 직업으로 선정됐다. 그런데, 한 특성화고에서 학생들에게 ‘아는 직업에 대해 써 보라’고 했더니, 고작 100개를 채우지 못하는 사람이 대다수인 걸로 나타났다. 한국직업사전을 보면 우리나라 직업의 종류는 2014년 말 기준으로 1만1440개가 실려 있다. 일본은 2만5000개, 미국은 3만654개에 이른다. 이것을 전 세계로 넓혀보면 천문학적으로 직업의 수는 늘어난다. 우리가 모르는 직업이 훨씬 많다.   
국내외 직업을 비교해보면 외국에는 있는데 우리나라에 없거나 혹은 우리나라보다 외국에서 활성화 된 직업이 있다. 이러한 직업들은 법률적 문제 때문에 우리나라에서 합법화 되지 않은 경우도 있고 시장의 미성숙 등으로 인해 확산되지 못한 경우도 있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최근 워크넷을 통해 ‘100개의 외국직업’을 소개했다. 하이하이에서는 이 100개의 외국직업 중 재밌고 이색적인 직업을 간추려 봤다. 외국직업의 탐색을 통해 우리나라에 적용할만한, 내가 할 만한 일이 무엇이 있을지 가늠해보기 바란다.


2. 도우미로봇전문가
Personal Robot Specialists


로봇 분야의 성장엔진인 도우미 로봇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전문가로 직무에 따라 도우미로봇프로그래머, 도우미로봇디자이너, 도우미로봇시스템개발자, 도우미로봇개발자, 로봇인공지능전문가 등으로 구분된다. 도우미로봇전문가는 도우미로봇의 구조 및 로봇의 구동을 위한 알고리즘과 프로그램의 구조를 설계한다. 또 도우미로봇의 기계, 전자, 소프트웨어의 성능 향상을 연구하고 개발하며 인간에 가까운 인지능력과 행동이 가능한 생체로봇 관련 연구와 개발을 진행한다.


3. 디지털장의사 
Digital Undertaker


디지털장의사는 사후 인터넷상 개인정보를 삭제 및 관리해 고인의 ‘잊혀질 권리’를 지켜주는 직업인으로 고인이 생전에 가입한 인터넷 계정을 삭제 및 관리해 인터넷에 남은 고인의 개인정보를 활용한 인터넷 사기 및 정보도용을 방지한다. 미국은 레가시 로커, 라이프인슈어드, 데드스위치 등 온라인상의 기록을 사후에 처리해주는 서비스 회사가 존재한다. 이 밖에 일본의 세푸쿠, 네덜란드의 자살기계 등 SNS의 계정을 한 번에 삭제해주는 서비스 업체도 있다. 그러나 SNS 회사들의 사후 계정 운영에 대한 일괄적인 방침이 없기 때문에 회사들마다 다른 운영 지침을 갖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4. 사이버 평판관리전문가 
Cyber Reputation Manager


온라인상에서 개인 혹은 기업의 평판을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직업인이다. 이들은 고객에 우호적이고 긍정적인 평판이 돋보이도록 부정적인 기사, 댓글, 평가 등을 제거하거나 검색결과상 후순위로 내려가도록 유도한다. 또 소상공인이나 프랜차이즈를 대상으로 상품 및 회사에 대한 검색 결과를 모니터링하고 관리한다. 미국에는 레퓨테이션 매니지먼트, 레퓨테이션 디펜더 등 고객의 온라인 이미지를 관리하는 회사가 여럿 존재한다. 시간과 노력에 따라 이들 회사가 받는 비용은 4천 달러에서 3만 달러까지 다양하다.


5. 기업프로파일러 
Corporate Profiler/in


프로파일링기법을 활용해 기업의 미래 행동을 예측해 새로운 정체성을 고안하는 전문가로 기업이 새로운 이미지 구축을 진행할 경우 프로파일링기법을 활용해 해당 기업의 기존 시장전략을 분석하고 새로운 기업 정체성을 고안하는 일을 수행한다. 기업프로파일러의 직무는 분석 분야에 따라 기업정보프로파일링, 조직프로파일링 혹은 조직문화프로파일링, 세무회계프로파일링 등으로 구분된다. 기업의 포지셔닝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해 과거의 마케팅 전략을 분석하고, 기업 경영진·직원과의 회의 등을 통해 해당 업계의 시장 상황을 분석한다. 


6. 인공지능전문가 
Artificial Intelligence Expert


인공지능전문가는 인간의 학습능력과 추론능력, 지각능력, 자연언어의 이해능력 등을 컴퓨터프로그램으로 실현하는 인공지능 분야의 전문인력이다. 인간의 뇌구조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컴퓨터나 로봇 등이 인간과 같이 사고하고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인공지능알고리즘과 인공지능을 프로그램으로 구현하는 기술을 개발한다. 인공지능은 로봇, 영상 및 음성인식, 게임, 빅데이터 등의 핵심기술로 미국, 영국 등 선진국의 경우 대부분 관련 전문가가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