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3년 동안 가짜 경유를 팔다 적발된 업소가 930곳이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15일 한국석유관리원이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김한표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2년 이후 지난 4월까지 적발된 가짜 경유 판매 업소는 932곳으로 가짜 휘발유 판매 적발 업소(59곳)보다 16배 가까이 많았다. 가짜 경유 판매업소는 지난 2012년 303곳에서 2013년 240곳, 지난해 289곳, 올해 100곳에 달한다.
반면 가짜 휘발유를 판매하다 적발된 업소는 경유 판매업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데다 적발 건수도 줄어들고 있다. 가짜 휘발유 판매 적발업소는 2012년 21곳, 2013년 20곳, 2014년 15곳에 불과했다. 올해 4월까진 고작 3곳이 적발됐다.
이처럼 가짜 경유 적발 건수가 높은 것은 제조가 쉽기 때문이다. 김 의원에 따르면 가짜 경유는 제조할 때 특별한 물질이나 기술이 필요하지 않다. 경유와 값싼 등유를 일정한 비율로 섞기만 하면 된다. 가짜 휘발유를 제조할 때는 산업용 도료 및 시너 등의 용제와 휘발유를 섞는다. 지난 2012년부터 한국석유관리원이 용제 업소를 대상으로 보급 경로를 차단하고 있어 제조가 어려워졌다.
김 의원은 "가짜 경유를 주유하면 엔진에 손상이 생겨 대형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석유관리원은) 가짜 경유 유통 근절을 위한 특단의 대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