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 그중 구두의 경우 자칫 스타일과 디자인만 중요하게 생각하고 선택할 경우 발 건강을 위협 받을 수도 있다는 경고가 제기됐다.
실제 최근에는 하이힐을 많이 신는 여성들에게 나타나는 질환이던 ‘무지외반증’의 남성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지난 2005년부터 10년간 무지외반증 진료 인원을 분석한 결과 여성 환자는 2005년 2만3천 명에서 2014년 5만5천 명으로 2.3배 증가했지만, 남성 환자는 2005년 3천2백 명에서 2014년 8천8백 명으로 늘어나 2.7배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 뼈에 붙은 여러 개의 힘줄이 정상 배열에서 이탈하거나 관절을 감싸고 있는 관절낭이 늘어나 엄지발가락의 뼈가 둘째발가락 쪽으로 휘어져 통증이 생기거나 변형되는 질환. 최근 남성들도 신발 트렌드가 변함에 따라 편한 운동화 보다 발볼이 좁은 구두를 많이 신고 있기 때문에 이 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고 있다.
![]() |
무지외반증은 신발 외에도 유전적 원인과 후천적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가족력이 있거나 특히 비만으로 발에 하중을 많이 받는 20~30대, 발 근육이 약화된 60~70대에서 많이 발병되고 있다.
무지외반증 환자는 치료를 위해 교정용 깔창이나 발가락 보조기를 착용하는데, 심할 경우 수술을 해야 하지만 합병증으로 엄지발가락 관절 운동이 제한되거나 엄지발가락 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수술 이후에도 잘못된 생활 습관이나 외상에 의해서도 무지외반증이 재발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조원장은 “뼈가 휘기 시작하면 저절로 회복되지 않기 때문에 엄지발가락이 바깥쪽으로 휘는 등 이상 증상이 나타났다면 병원을 찾아 조기치료 해야한다” “변형을 막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예방이 중요한데, 신발을 구매할 때는 유행에 치중하기보다 본인의 발 길이와 넓이는 모두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고 틈틈이 발가락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도 도움 된다”고 조언했다.
적당한 깔창의 높이를 구하는 공식=(발길이-발가락길이) X 0.176
ex) 본인 키 169 cm, 발길이 270mm 발가락 길이 40m인 남자에게 알맞은 깔창 높이는?
(270-40) X 0.176 = 40.48 약 4cm
단, 기존의 신발굽높이와 깔창의 높이를 합친 높이이다.
ex) 본인 키 169 cm, 발길이 270mm 발가락 길이 40m인 남자에게 알맞은 깔창 높이는?
(270-40) X 0.176 = 40.48 약 4cm
단, 기존의 신발굽높이와 깔창의 높이를 합친 높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