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주 뇌졸중'

소량의 소주를 마시는 것이 뇌졸중 예방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희준 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 교수팀이 지난 2011~2013년 뇌졸중 임상연구센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20세 이상 환자 1848명과 비슷한 시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건강한 대조군 3589명을 비교 조사한 결과 이같이 밝혀졌다.

술을 마시지 않는 사람과 비교했을 때 소주 1잔(알코올 10g)은 62%, 소주 2잔은 55%, 소주 3~4잔은 46%의 뇌졸중 예방 효과를 각각 나타냈다. 술에 의한 뇌졸중 예방 효과는 하루 한잔 이내로 마실 때 가장 높은 셈이다.

그렇다면 백해무익한 것으로 알려진 담배는 어떨까.


희준 교수와 서울의료원 박태환 교수 연구팀이 국내 뇌졸중 환자의 역학자료가 등록된 뇌졸중 임상연구센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 2008년부터 2010년까지 전국 9개 대학병원 및 지역 뇌졸중센터에 입원한 급성 뇌경색 환자 5107명을 선별해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통해 수집된 건강한 대조군과 비교 분석한 결과, 45세 이하의 젊은 남성 뇌졸중 환자에서 무려 45%가 흡연이 주요 발병 원인으로 나타났고 고혈압(29%)이 뒤를 이었다.

46세 이상 65세 이하의 중년 남성에서도 흡연(37%)과 고혈압(23%)이 가장 주요한 뇌졸중 발병 요인으로 분석됐다. 66세 이상의 노인에서는 남녀 모두 고혈압(남성 24%, 여성 23%)과 뇌졸중의 과거력(남성 20%, 여성 17%)이 가장 주요한 위험 요인으로 꼽혔다.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