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광군절' '중국 블랙프라이데이'

알리바바가 중국판 블랙프라이데이이인 광군제 시작 단 12분만에 매출액 100억위안(약 1조8100억원)을 기록했다고 시나닷컴 등이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11일 '중국판 블랙프라이데이'로 불리는 광군절(솔로데이)이 시작된 가운데 실질적인 중국의 내수소비와 소비심리를 반영해주는 광군제 소비지표가 중국 경기의 턴어라운드를 가늠할 수 있는 척도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광군절(11월11일)은 중국에서 독신을 뜻하는 숫자 '1'이 네 번 겹치는 날로 중국의 난징대학교에서 처음 나타난 단어다. 커플을 위한 서양의 발렌타인데이에 맞서 만들어진 솔로들을 위한 중국소비의 날이다.

지난 2009년 11월11일 알리바바 그룹이 쇼핑몰 타오바오에서 대대적인 행사를 했었고 이듬해 다른 전자상거래 업체인 티엔마오, 징동, 쑤닝등이 이어받았다. 중국 정부가 소매판매 촉진 정책으로, 이날을 '소비 촉진의 날'로 지정하면서 대대적이고 전국적인 행사가 됐다. 10월 국경절 연휴와 연말연시로 이어지는 소비의 교두보 역할을 하는 시기인데다가 광군절로 해마다 2배 가까이 당일 매출이 증가해 더욱 관심이 집중됐다. 

알리바바의 쇼핑몰 타오바오의 지난 2013년 11월11일 하루 매출은 350억 위안이었고 지난해는 571억 위안으로 집계됐다. 기타 온라인 쇼핑몰의 당일 매출까지 합산하면 1300억 위안이상으로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 판매 실적을 넘어선 수준이다.

참가 기업들도 다양하며 참가국 역시 급증하는 추세다. 행사가 진행되는 품목을 살펴보면, 가전제품, 화장품, 스포츠용품, 의류, 과자, 생필품 등 사실상 대부분의 품목이 이에 해당된다. 특히 컴퓨터, 휴대폰 등이 가장 많이 판매되고 있다.


특히 중국 정부가 언급한 '인터넷+' 정책과도 맞물려 있어서 향후 광군절은 중국 소비의 현주소를 알 수 있는 척도가 될 것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한편, '인터넷+' 정책은 제조업과 금융, 유통 등 기존의 전통적인 산업과 인터넷을 융합해 산업 자체를 업그레이드 시키고자 하는 신형정책이다. 이는 자동화·산업로봇·3D프린터·클라우드컴퓨팅·스마트 기기 등 글로벌 집중 산업과도 통한다.

중국에서는 13차 5개년 계획을 앞두고 인터넷과 융합된 산업을 키우자 각부처에서는 목표와 향후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국무원에서는 '온오프라인 상호연결을 위한 의견'을 통해 기존 산업들과 인터넷과의 결합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으로 중국의 온·오프 연계(O2O)시장 규모는 2480억1000만위안을 기록했으며 이는 지난해 동기 대비78.4% 성장한 수준이다.

11일 중국판 블랙프라이데이인 광군제 시작 12분28초만에 알리바바 매출은 100억위안을 돌파했다. /자료사진=뉴스1(시나닷컴 제공)
11일 중국판 블랙프라이데이인 광군제 시작 12분28초만에 알리바바 매출은 100억위안을 돌파했다. /자료사진=뉴스1(시나닷컴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