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는 대표적으로 무리를 이뤄 사는 동물, 즉 사회적 동물이다. 따라서 개에게도 사람과 같은 사회화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고양이는 단독, 집단생활이 모두 가능하지만 사람과 함께 살아야하기 때문에 사회화가 중요하다.
|
하지만 대부분의 반려동물들은 폐쇄적 환경에서 성장기를 보낸다. 입양하고 최소한의 예방접종을 마칠 때까지 자의든 타의든 절대 집밖으로 나가지 않는다. 전염병에 대한 두려움 때문이다.
한때 우리나라는 반려동물 전염병이 폭발적인 수준으로 발생했다. 분양되는 많은 어린 강아지들이 파보바이러스장염이나 개홍역 같은 치명적인 질병에 이환됐다.
하지만 이제는 달라져야 한다. 우리나라도 이제 예방접종이 강화돼 전염병 발생이 상당히 줄었다.
물론 위험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아니지만 전염병 예방 이상으로 사회화는 반려견의 정상생활에 필수적이다. 사회화 부족이 많은 문제동물을 만들고 그들은 사람과 동물 모두의 불행을 가져온다.
왜 좀 더 성장한 다음 안전한 시기에 사회화시키지 않고 굳이 어린 나이에 세상에 노출시켜야 할까? 바로 어린 시기에는 마음의 문이 열려있기 때문이다. 이 시기에는 대뇌피질이 성숙하지 않아 세상을 호기심과 긍정적 태도로 바라본다.
성격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을 수 있지만 보편적으로 가장 사교성이 넘치는 시기다. 따라서 이 시기에 환경과 사람, 또 다른 동물들을 좋은 관계로 접하면 사회에 쉽게 적응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회화에 적합한 시기는 반려견 경우 생후 3개월, 늦어도 14주 이전이다. 고양이는 시기가 더욱 빨라 생후 7주 이전이다. 흔히 기초예방접종시기와 겹친다.
앞서 말했듯 사회화는 예방접종 이상으로 중요하다. 첫 접종을 시작하면 즉시 환경자극원에 노출시켜 사회화를 시작해야 한다.
물론 그 과정에서 감염이나 사고 등을 최대한 주의해야 한다. 또 환경을 접할 때 체벌한다든지 공포를 느끼는 부정적인 경험을 하게 해서는 절대 안 된다. 큰 트라우마가 생겨 이후 문제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도움말=애견샵 창업 프랜차이즈 러브펫멀티펫샵
러브펫동물병원 타임스퀘어점 · 중계점 최인영 대표수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