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A씨는 연말을 맞아 각종 모임에 참석하는 일이 많아졌다. 이에 과음을 하지 않아야겠다고 생각했지만 오랜만에 만난 사람들과의 술자리를 피할 수는 없었다. 계속되는 과음 탓인지 갑작스레 가슴 쓰림 증상과 목 이물감을 느끼기 시작했는데, 휴식이 필요한 상태였지만 설상가상 연말로 인해 늘어난 업무 때문에 스트레스까지 더해져 증상이 더욱 악화되었다.

연말 늘어나는 술자리와 업무 스트레스로 이처럼 가슴 쓰림과 목 이물감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가슴 쓰림과 목 이물감은 역류성식도염의 주요 증상이다. 그 밖에 흉통, 원인을 알 수 없는 만성적인 기침, 소화불량 등 도 역류성식도염의 증상 중 하나이다.


▶역류성식도염, 어떤 치료가 필요할 것인가?

역류성식도염은 위장의 내용물이 역류하는 동시에 식도 하부의 역류방지 기전이 깨지면 발생한다. 식도 하부의 역류방지 기전이 깨진다는 것은 위산과 위장의 내용물을 막아주는 하부식도 괄약근이 느슨해지는 것을 말한다. 역류방지 기전이 깨지는 주요 원인으로는 하부식도괄약근의 일시적인 이완 현상, 열공 허니아와 같은 해부학적 문제, 하부식도 괄약근의 낮은 압력 등을 꼽을 수 있다.

연말 과음으로 늘어나는 역류성식도염 증상, 정확한 진단이 먼저
에 대해 위편장쾌 네트워크 한의원 용산점 김진석 원장은 “보통의 역류성식도염 치료는 위장의 내용물의 역류를 막기 위해서 위산을 억제제를 사용한다. 그러나 위산억제제는 식도 하부의 역류방지 기전을 치료할 수 없기 때문에 역류성식도염 원인을 정확히 파악해서 초기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원인 모를 기침이 만성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면 역류성식도염을 의심하고 초기 진단과 치료에 나설 필요성이 높다. 누운 자세에서 증상이 더 강하게 나타난다면 더욱 그렇다. 역류성식도염에 걸리면 위의 내용물 또는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는 증상을 겪게 되는데, 그 결과 식도에 염증이 발생하게 된다. 손상을 입은 부위에는 이물감이 발생하면서 기침을 하게 되는 것이다. 누운 자세에서는 위산의 역류가 더욱 심해질 수 있어 기침 증상도 덩달아 심해질 수 있다는 설명.
▶“정확한 역류성식도염 진단이 명쾌한 치료 가능케 해”

역류성식도염 치료를 위해 위편장쾌 네트워크 한의원에서는 환자의 장부 기능 상태를 진단해낼 수 있는 검사 방법인 위장공능검사를 사용하여 진단하고 있다. 위장공능검사는 장부의 리듬, 탄력, 배출, 신경 등 네 가지 기능을 파악할 수 있는 검진 방법이다. 이는 역류성식도염진단 뿐만 아니라 위장&대장 기능이상의 구체적인 원인을 밝히는 데 큰 도움이 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이러한 정확한 진단 후에는 다양한 한약을 활용한 치료가 실시된다. 평진건비탕이나 행체탕, 가미사칠탕 등은 역류성식도염 치료에 효과를 보이고 있는 치료약이다. 특히 가미사칠탕은 담과 기가 울결(鬱結)되어 목구멍 사이를 막아서 뱉으려 해도 나오지 않고 삼키려 해도 내려가지 않는, 이른바 매핵기(梅核氣)를 다스리는 처방으로도 유명하다. 또한 한약 치료를 통해 자율신경을 안정시키는 데도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이어 건위단 처방은 약해진 위장의 기능을 살려주는 역류성식도염 환자에게는 꼭 필요한 처방이다. 또한 비위의 기능을 강화할 수 있는 약침요법 등 다양한 침구치료도 병행되면 더욱 효율적인 치료를 받아볼 수 있다.

김 원장은 “최근 연말의 무리한 술자리로 인해 역류성식도염을 앓는 이들이 많지만, 잦은 기침 등 유발증상을 가벼운 감기 탓으로 돌리며 제때 치료를 받지 않는 경우도 적지 않아 우려가 된다. 앞으로는 역류성식도염을 앓고 있는 환자들이 자신을 괴롭히는 증상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함으로써 명확한 치료를 받을 수 있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도움말 : 위편장쾌 한의원 용산점 김진석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