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시국선언'

대학생들이 한일정부의 일본군 위안부 합의를 규탄하고 즉각 폐기를 요구하는 시국선언에 나섰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 촉구를 위한 정기수요집회가 만 24년째를 맞는 6일, 대학생들은 한목소리로 지난달 28일 성사된 한일 정부의 일본군 위안부 합의를 규탄하고 즉각 폐기를 요구했다.

13개 대학 총학생회 대표들로 구성된 '한일 협상안 규탄 대학생 대표자 시국회의'는 6일 서울 중학동 일본대사관 앞 평화비(소녀상) 앞에서 실시된 '한일 협상안 규탄 대학생 시국선언 및 기자회견'을 통해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과 국민의 뜻을 외면한 이번 굴욕적인 한일 협상안은 파기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학생 대표들은 일본이 일본군 위안부에 대해 국가적 차원의 강제연행이었으며, 이를 인정하지 않았다는 점에 대해 비판했다. 학생 대표들은 "이번 협상에서도 일본정부는 모호한 말로 피해가며 국가적 차원의 강제연행 사실을 인정하지 않았다"며 "국가적 차원으로 배상하는 것은 지난 25년간 이어져온 할머니들의 변치 않는 요구"라고 말했다.


이어 위안부 피해자 지원을 위해 일본 정부가 10억엔을 출연해 재단을 설립하겠다고 밝힌 방안에 대해서도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학생 대표들은 "일본정부가 10억엔을 출연하겠다는 것은 전혀 국가적 차원의 책임을 지는 것이 아니다"며 "오히려 국제적 배상 기준에 부합하지 못하며, 국제적·법적 책임을 교묘하게 피해가기 위한 수단으로 악용되고 있다며 엠네스티로부터 비판을 받은 '여성을 위한 아시아 평화 국민 기금'을 재현시킨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협상 결과를 '최종적이고 불가역적'이라고 못박은 것에 대해서도 강하게 비판했다. 박세훈 고려대 학생회장은 "반인도적이고 반인륜적 전쟁범죄는 최종적이며 불가역적이란 말을 쓰지 않는 것이 국제적인 상식으로 알고 있다"며 "박근혜 정부의 협상이 피해자의 말을 듣지 않았고, 합의 후 통보했다는 점, 최종적이란 표현을 썼다는 점에서 50년 전 한일협정과 닮아 있으며, 이에 대응해 대학생들은 끝까지 행동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는 서울대, 고려대, 서강대, 한양대, 경희대, 한국외대, 동국대, 홍익대, 세종대, 이화여대, 덕성여대, 성신여대 등 총 13개 대학의 총학생회 및 비상대책위원회가 참석했다.

'대학생 시국선언'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 있는 소녀상. /사진=뉴스1
'대학생 시국선언'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 있는 소녀상. /사진=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