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는 지난해 신고된 결핵 환자는 4만3088명, 사망한 결핵 환자는 2305명이라고 지난 9일 밝혔다. 결핵 신환자(과거 결핵 치료를 한 적이 없는 환자) 비율은 2011년 인구 10만명당 78.9명에서 2012년 78.5명, 2013년 71.4명, 2014년 68.7명으로 꾸준히 감소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지난해 10월 발표한 '2015년 세계 결핵 현황' 보고서에서도 한국의 결핵 유병률은 2013년 인구 10만명당 143명에서 2014년 101명으로 줄었고, 결핵 사망률도 같은 기간 5.2명에서 3.8명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국의 결핵 발생률은 10만명당 86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1위를 여전히 유지하고 있다. 단, 국내 결핵 통계는 '신환자 비율'을 산출하지만, WHO는 신환자와 재발자를 합하고 미신고율을 가산해 '발생률'을 추정하기 때문에 국내 통계보다 수치가 더 높다.
결핵은 결핵 환자의 기침, 재채기, 대화 등을 통해 배출된 결핵균이 공기를 타고 다른 사람의 폐로 들어가면서 감염되는 질환이다. 18세기 중반 산업혁명 이후 전 세계적으로 결핵이 크게 유행했다. 항결핵제가 개발되기 전에는 치사율이 50%를 넘었다. 그러다가 1940년대 후반 항결핵제가 개발돼 치사율이 크게 감소하고 백신도 널리 보급되면서 결핵은 이제 '후진국 감염병'으로 인식하게 됐다.
하지만 국내에서 결핵은 의료 인프라가 취약했던 한국전쟁 때 유행하기 시작해 1960~1970년 대까지 환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했다. 결핵은 만성감염병이기 때문에 결핵균에 감염되더라도 질병이 발현되지 않다가 면역력이 떨어지는 시기에 발병하는 경우가 많다. 즉, 과거 결핵이 유행하던 시기 결핵균에 감염됐으나 자신은 모르고 있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것이다.
이에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국내 인구의 3분의1 정도가 결핵균을 갖고 있다. 이를 '잠복 감염'이라 부른다"며 "40대 이상의 25%가 잠복 감염일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들 잠복 감염자의 고령화와 함께 결핵 환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다는 말이다.
이 관계자는 "한국이 경제 성장 속도가 빨라 OECD에 가입했으나 결핵 환자의 감소 속도는 그만큼 빠르지 않았다"며 "그래서 OECD 국가 중 상대적으로 결핵 환자가 많다"고 설명했다.
결핵은 기침·가래·미열이나 기운이 없는 증상 등이 있을 수 있고 아무런 증상이 없을 수도 있다. 기침·가래·미열 등은 감기·천식·기관지염 등에서도 나타나므로 증상만으로 결핵을 구별해내기 어렵다. 그러나 감기 등은 1주일 정도가 지나면 증상이 호전된다. 별다른 원인 없이 기침·가래가 2주 이상 지속되면 결핵을 의심하고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
정부는 결핵 발생을 줄이기 위해 '결핵관리 종합계획'(2013~2017)을 수립, 시행하고 있다. 종합계획은 취약계층과 고위험군 상대로 결핵 검진을 확대하고, 결핵 환자가 발생했을 때 접촉자 조사를 강화하도록 했다. 또한, 결핵 환자의 가족·친구 등 결핵 환자와 밀접하게 접촉한 사람들은 보건소에서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무료 검진을 받을 것을 권하고 있다. 잠복 감염자에겐 치료비 중 본인부담금 전액이 지원된다.
![]() |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사진=뉴스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