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모델3 /사진= 테슬라 홈페이지 캡처
테슬라 모델3 /사진= 테슬라 홈페이지 캡처

테슬라의 보급형 전기차 '모델3'가 우리나라에서도 판매될 전망인 가운데 정부가 지급하는 보조금을 받을 수 있을지 여부에 관심이 집중된다.

테슬라의 CEO인 엘런 머스크는 1일(현지시간 3월31일)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모델3'가 이날부터 예약판매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한국에서 "이날 활성화될 모델3 주문 페이지에 몇몇 나라들을 추가하고 있다"며 "인도, 브라질, SA, SK, NZ, Sing & Ireland 등이 포함될 것"라고 밝혔다. SK는 'South Korea'의 약자다.


실제로 테슬라는 이날 오픈한 마이크로 페이지 국가 선택란에 ‘South Korea’를 포함시켰다. 우리나라에 거주하는 국민이나 외국인들이 모델 3를 사전계약 할 수 있다는 의미다.

환경부 측은 테슬라가 정상적인 인증절차를 거치면 받지못할 이유는 없다는 입장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보조금은 구매시점에 지급하기 때문에 테슬라가 국내에 차량을 판매하는 시점에 정상적인 국내인증절차를 완료하면 무난하게 보조금지급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정부의 전기차 지원관련 정책이 강화되는 만큼 내년에도 보조금 지급 대상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도 테슬라 모델3가 보조금 지급기준을 충족시킬 것으로 내다본다. 현재 정부의 '전기차 보급대상 평가에 관한 규정'을 보면 전기차가 보조금을 받으려면 1회 충전으로 상온에서 최대 120㎞ 이상 주행해야 하고 완속 충전기(일반 충전기) 기준으로 완전충전에 10시간 이하가 걸려야 한다.


현재 테슬라 모델3의 경우 최대 주행거리가 300km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돼 주행거리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의 BYD가 국내시장에 진출하는 데 걸림돌이 됐던 완전충전에 걸리는 시간 또한 문제가 없을 전망이다. 테슬라 모델S의 경우 미국에서 전용 완속충전기를 이용해 완전충전 하는 데 4시간여가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기준으로 시간이 얼마나 걸릴지는 두고봐야 하지만 인증통과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