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18일)는 현대중공업 하청업체 소속 노모씨가 오전 굴삭기 붐대에 끼이는 사고로 병원에서 치료 받던 중 오후 4시 50분 숨졌다.
올해 현대중공업에서 일어난 사망 사고만 다섯번째다. 지난 2월 20일에는 해양사업부 소속 조모씨가 4톤짜리 리프팅 프레임에 깔려 현장에서 숨지는 사고가 있었다.
3월 18일에는 하청업체 소속 서모씨가 야간작업장으로 향하던 중 바다에 빠져 사망했다. 4월 11일에는 하청업체 소속 송모씨가 페인트를 벗겨내는 블라스팅 야간작업을 하기 위해 이동하던 중 목숨을 잃었다.
민주노총은 성명을 내 “죽음의 공장 울산 현대중공업, 노동자들은 위태로운 생명의 외줄을 타며 배를 짓는다”며 반복되는 산재사망 사고에 대해 사업주와 정부가 책임져야 한다고 밝혔다.
또 “하청노동자들은 위험을 알면서도 계약해지 고용불안에 숨죽이며 작업에 내몰리고 있다”며 기업살인법 제정 및 현대중공업 사업주 즉각 구속 처벌을 주장했다. 산재사망 기업 책임자의 형사처벌을 강화해야만 더 이상의 희생을 막을 수 있다는 것이 민주노총의 판단이다.
민주노총은 현대중공업이 적자를 이유로 하청계약을 남발하고 비용절감을 위해 인력투입을 최소화하는 등 작업장의 안전수준을 낮추는 일을 조장한 데 대해서도 “현대중공업은 살인기업”이라는 표현으로 강하게 비판했다.
이어 “중대재해 사업주에 대한 엄중 처벌과 지도감독을 회피하고 있는 고용노동부의 직무유기”를 거론하며 노동부 차원의 특별안전감독 실시를 요구했다.
![]() |
19일 민주노총 울산본부와 현대중공업 원·하청 노조 관계자들이 울산시청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현대중공업에 안전책임을 요구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