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일주일 새 산재 사망사고 3건이 잇따라 발생한 현대중공업이 오늘(20일) "전사적으로 작업을 전면 중단한다"고 밝혔다. 회사가 산재사고와 관련해 스스로 전면 작업을 중단한 것은 1972년 창사 이래 처음이다.

현대중공업은 이날 임직원 일동 명의의 담화문에서 "최근 일주일 새 3건의 중대재해가 연이어 발생해 세 분이 고귀한 생명을 잃는 안타깝고 가슴 아픈 일이 일어났다"며 "고인들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들께 깊은 애도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현대중공업은 이날 작업을 전면 중단하고 안전 대토론회를 실시한다. 전 임직원이 자신이 근무하는 작업장의 위험요인을 점검한 뒤 발표 및 토론, 안전 점검표 작성 등이 진행된다.

현대중공업은 "회사는 앞으로 안전관리 책임경영을 대폭 강화해 나가겠다"며 "중대재해 발생시 해당 사업본부의 성과 평가를 1등급 하향하고, 담당 임원에게 그 책임을 엄중하게 묻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최고경영자(CEO)와 사업 대표는 물론 설계와 지원부서 등 비생산부서 임원과 부서장의 현장 안전활동도 더욱 확대할 방침이다.

현대중공업은 또 "안전부문을 사업 대표 직속 조직으로 개편하고, 안전에 대한 감사 및 징벌권을 강화하겠다"며 "각 사업본부는 부서별로 차기 부서장 후계자를 안전 책임자로 임명해 안전활동을 강력하게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어 "각 사업본부별 중대 안전 수칙을 절대 안전 수칙으로 정비하고 수칙 위반자에 대해서는 규정에 의해 엄중하게 제재하는 한편 1박2일간의 집체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안전에 대한 의식을 재확립하겠다"고 덧붙였다.


협력회사 안전활동도 더욱 강화해 나간다는 방침도 나왔다. 현대중공업은 "협력회사별 안전관리 전담자를 배치하고 안전인증 획득을 의무화하는 한편, 중대재해가 발생한 협력회사에 대해서는 계약 해지 등 강도 높은 제재를 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부산지방고용노동청은 현대중공업에 대해 오는 25일부터 다음달 4일까지 특별근로감독을 실시할 예정이다. 부산지방노동청은 "지난해와 올해 현대중공업에서 발생한 재해는 기본적인 안전수칙만 지켰더라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는 사고였다"며 "재해 예방 의무를 게을리해 불황이 지속되는 조선업계의 안전보건 취약성을 여실히 드러냈다"고 분석했다.

현대중공업. /자료사진=뉴스1
현대중공업. /자료사진=뉴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