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의 경우 휴전선 접경지역(인천, 경기, 강원) 거주자, 여행객 및 군인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모기가 활발히 활동하는 시기인 5~10월 사이에 집중적으로 발생한다. 해외의 경우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에서 연중 발생하며 특히 치료 예후가 좋지 않은 열대열말라리아가 지속 발생 중이다.
질병관리본부는 말라리아 감염 예방관리를 위해 방역대책을 시행 중이며, 말라리아 위험지역에 거주 또는 여행하는 우리 국민들에게도 말라리아 감염 예방 수칙을 잘 준수해 말라리아에 감염되지 않도록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말라리아 감염을 예방하려면 말라리아는 상용화된 백신이 없기 때문에 여행 전과 후에 적절한 예방약을 선택해 충분한 기간 약제에 따라 정해진 복용수칙에 맞게 복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해외여행 중에는 현지에서 항말라리아제로 추천되지 않는 약을 먹거나, 함부로 약을 혼합해 복용하는 경우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공식적인 의료체계 이외에 유통되는 약은 제품의 질과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으므로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 |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