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제구조 대기업에 편향. /사진=뉴스1 |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달 8일부터 15일까지 진행한 '대한민국 균형성장에 대한 국민의견 조사' 결과를 15일 발표했다. 해당 조사는 만 19세 남녀 7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조사에 참여한 응답자의 94.4%는 우리나라 경제 구조가 대기업에 편향됐다고 지적했다. 이로인해 발생된 가장 큰 문제로는 '대기업·중소기업 격차 심화'(57.6%), '금융·인력 자원의 대기업 편중 심화'(40.1%) 등이 꼽혔다.
응답자들의 94.2%는 균형성장과 격차 해소를 위해 대기업 중심에서 중소기업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또 중소기업 중심의 경제구조 정착이 경제·사회 현안별 문제 해소에 도움이 될 것인지 묻는 질문에 '도움된다'는 응답이 75%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응답자들은 중소기업 중심의 경제구조로 전환될 경우 ▲지역경제 활성화(84.8%) ▲대기업·중소기업 양극화 해소(81.7%) ▲중소기업에 대한 사회인식 개선(81.7%) 등이 이뤄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중소기업 중심의 경제구조 정착을 위해 정부가 우선적으로 주력해야 할 과제로 응답자 2명 중 1명(52.4%)은 대기업의 무분별한 사업확장 억제 등 시장 불균형을 해소해야 한다고 답변했다.
뒤를 이어 일방적 납품단가 인하 등 대기업 부당행위 처벌강화(48.7%), 대기업·중소기업간 인력 및 금융자원 배분 공정성 회복(30.9%) 등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나왔다.
소한섭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우리나라 국민은 이미 대기업 위주 경제구조의 한계를 인식하고 있다"며 "공정경쟁 환경조성 및 공정거래 질서구축, 금융·인력 자원의 공정한 배분 등 바른 시장경제 정착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 추진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