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이미지투데이 |
최근 스마트폰 보급률과 인터넷 이용률이 85%를 넘어서며 스마트폰·인터넷 과의존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대책 마련에 나섰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 13일 열린 ‘제7차 정보통신전략위원회’ 회의에서 스마트폰·인터넷 과의존 위험군을 위한 전략을 발표했다.
정부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스마트폰 보급률은 86%를 넘어섰고 인터넷 이용률은 85.1%에 이른다. 특히 스마트폰은 1일 평균 4.6시간을 이용할 정도로 생활에서 일상적, 습관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스마트폰·인터넷 사용이 꼭 나쁘다고는 할 수 없지만 ‘중독’ 수준의 사용은 학업, 업무 등 직무수행 및 사회적응 능력 저하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정부의 최근 5년간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스마트폰 중독위험군 중 고위험군은 2011년 1.2%에서 지난해 2.4%로 1.2%p 증가했다. 또 같은 기간 잠재위험군은 7.2%에서 13.8%로 늘었다.
이에 따라 ▲자율적 조절능력 강화 ▲과의존 치유서비스 안정화 ▲스마트폰·인터넷 지식역량 강화 ▲과의존 대응 협력체계 강화 등 4대 전략 아래 52개 정책과제를 본격 추진한다는 게 정부의 계획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자율적 조절능력 강화를 위해 전국 유치원 90% 이상에서 체험형 스마트폰 중독예방 교육을 실시한다. 또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는 연간 6만명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인형극과 연극 등 눈높이 맞춤형 교육도 진행할 예정이다.
자녀의 올바른 디지털기기 사용 습관지도를 위한 부모 교육과정도 확대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연간 1만명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게임문화 및 인식교육에 나서고 여성가족부는 스마트폰 과의존 청소년 부모를 대상으로 이용습관 형성교육을 진행할 계획이다.
과의존 치유서비스 안정화를 위해선 진로, 직무 적성 상담 기능 강화와 ‘상담기록 및 이력 관리시스템’ 개발·운영 등 상담서비스 고도화 및 체계화를 추진한다.
또한 스마트폰·인터넷 지식역량 강화를 위해 학교현장을 찾아가는 ‘공감 토크콘서트’ 확대, 직업교육 연계 및 지역특성화 프로그램 신설·운영 등 스마트폰 활용 역량 강화 방안을 실시한다.
이와 함께 지방자치단체-상담센터-학교-병원 등 생활권역 거버넌스를 강화하고 유관 전문기관 및 국제학회 협력 등 국내외 과의존 대응 협력체계를 강화할 방침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스마트폰·인터넷 과의존 사전 예방교육과 민간참여 문화운동 등을 통해 스마트폰 바른 사용 대국민 인식 제고 및 올바른 사용문화 정착을 기대한다”며 “앞으로 부처간 협력체계와 지자체, 상담센터, 민간기업 등과 협력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