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 분석평가 전문사이트 팜스코어가 24일 국내 81개 상장제약사(바이오·원료의약품 포함)의 올해 1분기 매출액 대비 영업이익(개별기준)을 분석한 결과 전체 매출액은 전년 동기(3조2791억원) 대비 3634억원 늘어난 3조6425억원으로 11.1%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2606억원) 대비 11.6% 증가한 2909억원을 기록했다.
하지만 81개 상장제약사의 평균 영업이익률은 8%로 0.1% 늘어나는데 그쳤다. 기술이전과 해외수요 영향 등으로 매출액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률이 정체된 것은 상품 및 제품 매입액의 변동에 따른 높은 수준의 매출원가율과 R&D 비용증가로 영업이익률이 따라가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 |
/사진=이미지투데이 |
영업이익률 1위는 메디톡스가 차지했다. 이 회사는 매출액 256억원, 영업이익 157억원으로 영업이익률이 61.4%에 달해 상장제약사 평균보다 약 7.7배 높았다. 매출액 대비 매출원가(46억원) 비중이 18%로 낮은 원가율과 판매관리비가 매출액의 20.3%에 해당하는 52억원을 기록해 원가관리 부문에서 선방한 게 높은 영업이익률 달성의 원인으로 분석된다.
2위는 1분기 매출액 107억원, 영업이익 35억원으로 영업이익률 32.3%를 기록한 휴메딕스가 차지했다. 이 회사는 제품 및 상품 매출액에서 매출원가(54억원)가 차지한 비중이 50.4%로 메디톡스보다 32.4%p 높았지만 이에 비해 판매관리비는 18억원(17.3%)으로 3.0%p 낮았다. 메디톡스와 마찬가지로 낮은 매출원가율과 판매관리비율이 높은 영업이익률로 연결된 것이다.
이어 ▲셀트리온(28.0%) ▲DHP코리아(25.0%) ▲신일제약(23.8%) 순으로 영업이익률이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