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재닛 옐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이사회 의장. /사진=뉴시스 |
지금이라도 당장 팔고 떠나라는 주장이 힘을 얻는다. 하지만 이번 조정이 매수 기회라는 의견도 있다. 시장전문가들은 연준 금리인상 우려로 급락세가 나타났던 지난 1월과 성격이 다르다는 데 주목한다.
◆낙관론, 역사상 최바닥권
전미 개인투자자협회(AAII)의 서베이 지표로만 보면 현재 시장 참여자들의 낙관론은 역사상 최바닥권이다. AAII 강세장 예상 답변(4주 이동평균 기준)이 25% 미만으로 떨어진 것은 1997년 이후 8번 정도 있었는데 ▲1998년 9월 아시아 외환위기 ▲2005년 4월 중국의 긴축 발언 ▲2003년 2월 이라크전 발발 ▲2008년 1월 베어스턴스 파산 ▲2009년 3월 미국 서브프라임 위기 ▲2013년 4월 버냉키의 테이퍼링 발언 ▲올해 1월 미국 금리인상 우려 ▲그리고 지금이다.
흥미로운 사실은 5월 셋째주 AAII 서베이에서 거의 절반(47%)에 가까운 미국의 개인투자자들이 '시장방향을 잘 모르겠다, 중립(Neutral)'이라고 대답했다는 것이다. 이는 연준의 금리인상 스케줄에 대한 불확실성, 중국경기 향방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너무 커 장세 판단이 어렵다고 느낀다는 뜻이다.
또 부정적이라고 보기도 어렵지만 확실한 증거가 나올 때까지 지켜보겠다는 의미다. 이는 현재 중립 기조를 지키는 개인투자자들의 투자심리가 움직이기 시작하면 위든 아래든 생각보다 큰 폭의 스윙(swing)이 나타날 수 있다는 뜻으로도 해석된다.
박소연 한국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지금은 매우 중요한 지점"이라며 "하반기는 큰 폭의 강세장(추격 매수, 숏 커버링)이 전개될 수도 있고 대대적인 약세장(패닉 셀링, 추격 매도)이 전개될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파는 조정 아닌, 사는 조정
코스피지수가 지난 3월 밴드 하단인 1960선을 하회했다. 예상보다 조정폭이 확대됐지만 이번 조정은 1월과는 성격이 다르다. JP모건 EMBI 스프레드, HY 스프레드 등 리스크 지표가 모두 안정적이다. 이번 조정이 매수 기회라는 의견을 뒷받침하는 근거다.
특히 달러 강세로 신흥국 통화가치가 재차 약세 반전했다. 신흥국 하이일드 채권지수는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JP모건 EMBI+스프레드와 BoA 메릴린치 미국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도 큰 움직임이 없이 유지된다.
이는 연준의 매파적(hawkish) 발언에도 불구하고 투자심리가 예상보다 안정됐다는 의미다. 올해 4번의 금리인상을 예고하며 금융시장에 충격을 줬던 연준이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에서다.
박 애널리스트는 "앞으로 달러화 추가 강세가 제한적일 수 있다"며 "지난 1월과 같은 Sell-off(대량 매각) 재현 가능성이 낮다고 보는 것은 이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결국 '이번 조정은 파는 조정(Sell in May)이 아니라 사는 조정(Buy the dip)'일 수 있다는 얘기다.
◆낙관론, 역사상 최바닥권
전미 개인투자자협회(AAII)의 서베이 지표로만 보면 현재 시장 참여자들의 낙관론은 역사상 최바닥권이다. AAII 강세장 예상 답변(4주 이동평균 기준)이 25% 미만으로 떨어진 것은 1997년 이후 8번 정도 있었는데 ▲1998년 9월 아시아 외환위기 ▲2005년 4월 중국의 긴축 발언 ▲2003년 2월 이라크전 발발 ▲2008년 1월 베어스턴스 파산 ▲2009년 3월 미국 서브프라임 위기 ▲2013년 4월 버냉키의 테이퍼링 발언 ▲올해 1월 미국 금리인상 우려 ▲그리고 지금이다.
흥미로운 사실은 5월 셋째주 AAII 서베이에서 거의 절반(47%)에 가까운 미국의 개인투자자들이 '시장방향을 잘 모르겠다, 중립(Neutral)'이라고 대답했다는 것이다. 이는 연준의 금리인상 스케줄에 대한 불확실성, 중국경기 향방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너무 커 장세 판단이 어렵다고 느낀다는 뜻이다.
또 부정적이라고 보기도 어렵지만 확실한 증거가 나올 때까지 지켜보겠다는 의미다. 이는 현재 중립 기조를 지키는 개인투자자들의 투자심리가 움직이기 시작하면 위든 아래든 생각보다 큰 폭의 스윙(swing)이 나타날 수 있다는 뜻으로도 해석된다.
박소연 한국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지금은 매우 중요한 지점"이라며 "하반기는 큰 폭의 강세장(추격 매수, 숏 커버링)이 전개될 수도 있고 대대적인 약세장(패닉 셀링, 추격 매도)이 전개될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파는 조정 아닌, 사는 조정
코스피지수가 지난 3월 밴드 하단인 1960선을 하회했다. 예상보다 조정폭이 확대됐지만 이번 조정은 1월과는 성격이 다르다. JP모건 EMBI 스프레드, HY 스프레드 등 리스크 지표가 모두 안정적이다. 이번 조정이 매수 기회라는 의견을 뒷받침하는 근거다.
특히 달러 강세로 신흥국 통화가치가 재차 약세 반전했다. 신흥국 하이일드 채권지수는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JP모건 EMBI+스프레드와 BoA 메릴린치 미국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도 큰 움직임이 없이 유지된다.
이는 연준의 매파적(hawkish) 발언에도 불구하고 투자심리가 예상보다 안정됐다는 의미다. 올해 4번의 금리인상을 예고하며 금융시장에 충격을 줬던 연준이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을 것이라는 믿음에서다.
박 애널리스트는 "앞으로 달러화 추가 강세가 제한적일 수 있다"며 "지난 1월과 같은 Sell-off(대량 매각) 재현 가능성이 낮다고 보는 것은 이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결국 '이번 조정은 파는 조정(Sell in May)이 아니라 사는 조정(Buy the dip)'일 수 있다는 얘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