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뉴시스 |
3일 경찰에 따르면 포스코건설 사무소와 매일ENC, 감리사 3곳에 수사관 20명을 파견해 공사관련 컴퓨터 하드디스크와 서류 등을 확보할 방침이다. 경찰은 공사관련 규정과 작업내역을 통해 안전관리 과실여부 및 불법하도급을 집중조사할 계획이다.
이번 사고는 남양주시 금곡리 주곡2교 진접선 지하철 공사장에서 일어났다. 원인을 알 수 없는 폭발에 의해 인부 4명이 숨지고 10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희생자는 모두 포스코건설 하청업체 소속 인부들이다.
포스코건설 관계자는 유족들에게 "작업장에서 누군가 피운 담배 때문에 폭발했을지 모른다"고 발언해 논란이 일기도 했다.
하지만 이번 사고는 원청업체인 포스코건설이 작업현장에 대한 안전조치를 제대로 하지 않아 발생했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견해다. 특히 최근 하청업체 근로자의 안전사고가 잇따르며 건설현장의 안전조치와 작업환경이 도마위에 올랐다.
건설노조 관계자는 "하청업체가 적은 금액으로 공사를 따내 돈을 남겨야 하기 때문에 안전에 소홀할 수밖에 없다"며 "그중에서도 안전관리비를 가장 많이 깎고 안전시설을 제대로 갖춰 작업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또한 "포스코건설이 안전점검을 충분히 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고 작업하는 사람들이 부주의했다는 회사 측의 변명은 잘못됐다"고 지적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에 따르면 우리나라 건설현장에서 사망하는 근로자 수는 연간 500~600명. 전체 산업현장의 25%를 차지하며 사망자 수는 건설 근로자가 다른 업종대비 4배 정도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