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KOTRA @머니위크MNB, 식품 유통 · 프랜차이즈 외식 & 창업의 모든 것
/사진=KOTRA @머니위크MNB, 식품 유통 · 프랜차이즈 외식 & 창업의 모든 것


취업난이 심화되면서 청년 구직자들이 저임금 음식업종으로 내몰리고 있다. 더구나 음식업 종사자의 절반 가까이는 최저임금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6일 한국노동연구원의 '음식점 및 주점업의 산업 특성과 고용구조 변화'에 따르면 음식업 취업자 수는 2008년 183만9000명에서 지난해 205만5000명으로 증가했다.


또한 음식업 취업자 중 15∼29세 청년층 비율은 2008년 12.9%에 불과했으나 이후 매년 높아져 2014년 23.5%까지 올라갔다. 음식업 취업자 4명 중 1명이 청년층 근로자인 셈이다.

문제는 음식업의 임금수준과 처우가 열악하다는 점이다.

2007~2014년 음식점 전체 매출액은 41.2% 늘었으나 영업이익은 29.9% 급감했다. 자영업의 공급과잉과 프랜차이즈 본사의 횡포로 음식점 수익성이 악화한 탓이다.


그 결과 음식점 근로자의 1인당 연간 급여액은 같은 기간 1.4% 증가하는데 그쳤다. 7년 동안 임금이 거의 늘어나지 않은 것이다.

2014년 전체 근로소득자의 평균연봉은 3170만원이지만 서비스업 종사자의 경우 2380만원이었다. 음식업 근로자의 평균연봉은 1260만원, 월급으론 100만원 남짓에 불과했다.

청년층 음식점 종사자 중 최저임금을 못 받는 비율은 재학생 48.3%, 졸업생 31.9%에 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