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구조조정 관련 경제관계장관회의 합동브리핑에서 유일호 경제부총리가 고심하는 표정을 보이고 있다. /사진=임한별 기자
8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구조조정 관련 경제관계장관회의 합동브리핑에서 유일호 경제부총리가 고심하는 표정을 보이고 있다. /사진=임한별 기자

정부가 채무재조정이 마무리 단계에 있는 현대상선에 대해 해운동맹(얼라이언스) 편입을 지원하고, 한진해운은 자구노력 원칙하에 용선료 협상 등을 최대한 돕기로 했다. 다만 유동성위기에 대해서는 자체 노력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했다.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은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마치고 "조선·해운업의 구조조정은 철저한 자구이행, 엄정한 손실분담 원칙 아래 신속하게 추진할 것"이라며 이같은 계획을 밝혔다.

양대 해운사는 현재의 재무구조 및 유동성 상황으로는 정상화가 어렵다는 판단에 따라 경영정상화 계획을 마련한다. 현재 현대상선은 용선료 조정, 사채권자 채무조정, 협약채권자 자율협약 등 3개 과정이 마무리단계에 접어들었고 한진해운도 용선료 협상에 착수했다.


현대상선은 이번주 내로 용선료 협상을 마무리하고 이달 말까지 계약 변경을 완료 할 계획이다. 이를 전제로 채권금융기관은 6839억원 규모의 출자전환 포함 총 1조3898억원의 채무조정안을 확정했다. 8043억원 규모의 사채권자 채무재조정은 50% 이상 규모의 출자전환 안건이 가결됐다.

출자전환이 마무리되면 현재 대주주인 현대그룹의 지분은 22.6%에서 1.4%로 줄어들고 채권단 지분은 40%까지 늘어난다. 3월 말까지 5309%에 달하는 부채비율은 연말까지 226%로 줄인다는 계획이다.

지난달 4일 조건부 자율협약에 돌입한 한진해운은 22개 선주사와 용선료 조정 협상에 돌입했다. 이달 27일 만기가 돌아오는 1900억원 규모의 공모사채를 연장한 뒤 모든 사채의 채무재조정을 위한 사채권자 집회를 다시 연다. 다만 유동성문제는 자체 노력으로 해결해야한다는 방침이다. 현대상선의 경우에도 현대증권 매각 등으로 유동성을 확보한만큼 한진해운도 동일한 원칙을 적용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