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미지투데이
/사진=이미지투데이

로봇이 인간과 대화하는 '챗봇'(Chatbot)이 주목받고 있다. 과거 챗봇은 사람의 키워드를 인식해 입력된 답변을 그대로 전달했다면 최근에는 사람의 자연스러운 언어로 질문이나 명령을 파악해 대화도 가능하다.
금융권에선 인터넷은행이 챗봇의 기능을 활용해 24시간 자산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금융봇' 도입을 준비 중이다. 인터넷은행 예비인가를 받은 카카오뱅크는 고객의 간단한 질문을 24시간 실시간으로 상담해주는 카카오톡 기반 금융봇을 선보일 계획이다. 

금융봇은 공과금 납부일정, 자동이체 결제 내역, 쿠폰을 사용할 수 있는 주변 식당을 안내할 예정이다. 또 고객의 금융상태를 점검·관리해주고 상품 추천, 상담 서비스까지 지원하는 똑똑한 자산관리 상담가 역할을 담당한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카카오톡을 통해 24시간 상담이 가능한 서비스를 도입할 예정"이라며 "100% 인공지능으로 서비스를 제공할지 일부만 적용할지는 결정하지 않았으나 새로운 자산관리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인공지능 기반 메신저 플랫폼, 모바일뱅킹 자동화 키울 것

인터넷은행의 금융봇이 활성화되면 은행권에서도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금융서비스 플랫폼이 한 단계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 은행 모바일뱅킹의 자동화를 앞당겨지고 금융봇의 완성도가 높아지면 더 빠르고 편리한 자산관리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먼저 금융봇은 은행의 메신저에서 계좌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고객은 직접 모바일뱅킹을 가동하지 않아도 메신저에서 은행이 요약한 계좌 정보를 받을 수 있다. 메신저 기능이 정교화되면 송금부터 고지서 납부도 가능해진다. 고객이 메신저에 계좌를 등록할 경우 송금, 환전서비스, 고지서 납부 및 결제까지 손 쉽게 이용할 수 있다.

이밖에도 메신저에서 고객들이 원하는 시간에 은행, ATM(현금입출금자동화기기) 위치정보 등 부가서비스를 이용이 가능해진다. 고객들은 생활 속 금융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포털 사이트를 따로 거치지 않고도 은행 메신저에서 금융봇의 빠른 안내를 받을 수 있다.

현재 금융봇과 유사한 형태를 지닌 메신저 플랫폼은 우리은행이 출시한 위비톡이다. 위비톡은 모바일 메신저 체제를 기반으로 커뮤니티, 쇼핑, 투자, 사회공헌 등 다양한 플랫폼을 구축해 생활밀착형 종합금융플랫폼을 지향한다. 우리은행은 위비톡으로 대화할 수록 수수료 면제, 우대금리 혜택을 주는 위비톡예금도 판매 중이다. 8월에는 위비톡과 연계해 중소기업이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위비마켓도 오픈할 예정이다. 

강서진 KB금융경영연구소 연구원은 "금융봇 등 빅데이터를 활용한 기술이 은행의 모바일뱅킹을 획기적으로 바꿀 것"이라며 "은행들은 기존 모바일 앱 중심의 플랫폼이 금융봇의 메신저로 흡수되고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맞춰 있던 상품과 자산관리서비스도 진화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