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가 결정되면서 영국에서 사업을 하는 각국 기업이 대책 마련을 위해 분주하다.

26일 코트라(KOTRA)에 따르면 지난 24일 브렉시트 결정 이후 미국과 일본, 중국, 유럽 등의 주요 기업은 저마다 경영전략회의에 돌입했다. 또한 사태를 예의주시하며 앞으로 영국과 유럽에서의 영업전략 수정을 계획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영국에 생산공장을 운영하고 있는 포드와 닛산, 토요타 등은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며 대책마련에 들어갔다.

포드는 총 매출 중 영국의 비율이 18.8%에 달하며 1만4000명 규모의 대규모 생산공장을 갖고 있다. 회사 측은 “파운드화 가치하락과 수요 감소에 대비해 안정적 수익과 경쟁력 유지를 위해 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닛산과 토요타는 영국 공장에서 생산되는 물량의 70~80%를 여타 유럽연합(EU) 지역으로 수출하는 구조다. 영국이 EU를 탈퇴할 경우 새로이 붙는 수입관세 등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다는 얘기다.

중국은 2015년 시진핑 주석의 영국 방문 이후 역점 추진해 오던 영국 고속철 프로젝트에 차질이 빚어질 가능성을 우려했다. 파운드 가치하락와 경기침체 등으로 원활한 자금과 설비 수급이 이뤄지지 않으면 대형 공사추진은 불리해질 전망이다.

아울러 2013년부터 영국 내 부동산에 투자를 확대하던 완다그룹 등은 파운드 평가절하와 경기둔화의 여파를 직접적으로 맞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 기업은 일제히 갑작스런 엔고에 더 큰 우려를 표명했다. 지난 24일 장중 한때 1달러 당 99엔까지 치솟아 아베 총리가 외환시장 개입을 시사할 정도였다. 한 컨설팅 회사는 이번 엔화가치 절상은 리먼 사태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영국에 완성차를 수출하는 독일의 자동차 제조사들은 향후 영국이 EU와는 다른 독자적 수입관세를 적용할 경우 가격경쟁력이 낮아질 것을 걱정했다. 동시에 영국 내 제조시설을 갖고 있는 일본 메이커들과의 경쟁에도 크게 불리해질 염려가 있다.

항공기 제조업체 에어버스는 브렉시트 발생 시 영국 웨일즈에 있는 생산공장을 프랑스로 옮기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이미 밝힌 바 있다.

이탈리아 기업이지만 2014년 영국 런던으로 본사를 옮겼던 피아트는 다시 본사를 EU 역내로 재이전하는 논의가 불가피한 것으로 전해졌다.

KOTRA 런던무역관에 따르면 현재 영국에 진출해 있는 100여개 한국 기업들은 브렉시트 충격 속에서도 큰 동요 없이 장단기 영향분석에 분주하다. 파운드화 가치하락에 민감하지만 영국이 EU를 완전 탈퇴하기까지는 적어도 2년 이상 남아 있기 때문에 그 기간 동안 영국 내 비즈니스 지속여부를 판단하겠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금융시장 불안이 실물경제에 영향을 미치게 되면 수요 감소 등으로 인한 현지 영업전략 수정은 불가피하다는 것이 대체적인 분위기다.

윤원석 KOTRA 정보통상지원본부장은 “현재 보이는 금융시장의 불안이 실물경제에까지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기를 바랄 뿐”이라며 “우리 기업은 신속하게 위기대응에 나서면서 시장여건 및 환율변동에 따른 틈새수요를 파고드는 전략이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