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학부모 교육정보 커뮤니티 맘앤톡이 이같은 내용을 담은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설문은 지난 5월 1일부터 31일까지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 회원 690명에게 ‘자녀의 용돈 관리’를 주제로 실시됐다.
이에 따르면 응답자의 77.4%는 자녀에게 ‘용돈을 준다’고 답했다. 그리고 용돈을 주는 시기는 ‘초등 1~2학년’이 적정하다는 응답이 34.2%로 가장 많았으며, ‘초등 3~4학년’ 32.2%, ‘초등 5~6학년’ 22.2%, ‘중학생 이상’ 11.4% 순으로 조사됐다.
자녀에게 용돈을 주는 목적은 47%가 ‘경제관념 형성’을 꼽았으며, ‘비상시 사용’ 23.2%, ‘자립심 고취’ 16.4%, ‘원만한 교우관계’ 7.4%, ‘취미활동 지원’ 4.2% 등을 이유로 용돈을 준다고 응답했다.
또한 용돈 액수는 한 달 기준으로 ‘1만~2만원’을 준다는 응답이 27.5%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5천원 미만’과 ‘5천원~1만원’이 각각 22.6%, 22.5%를 차지했다. 이밖에 ‘2만~3만원’ 17.2%, ‘3만~5만원’ 7.2%, ‘5만원 이상’ 2.9% 순이었다.
용돈 지급 주기는 52.9%가 ‘일주일에 한 번’ 이라고 답했으며, 25.1%는 ‘한 달에 한 번’, 12.6%는 ‘매일’, 7.8%는 ‘필요할 때마다 수시로’ 주는 것으로 조사됐다.
용돈의 금액과 주기는 ‘자녀와 상의해서 결정’한다는 응답이 56.2%로 가장 높았다. 31.3%는 ‘부모가 결정’, 11.2%는 ‘자녀가 결정’한다고 답했다.
용돈 관리는 39.9%가 ‘자녀 스스로 계획을 세워 쓴다’거나 28.6%가 ‘전적으로 아이가 쓰고 싶은 곳에 쓴다’라고 답해, 자녀의 의지에 맡긴다는 응답이 다수를 차지했다.
![]() |
반면 용돈을 받기 위해 하는 일이 ‘없다’ 라고 답한 응답자는 21.2%에 그쳐, 많은 학부모들이 자녀에게 경제관념을 심어주기 위해 소소한 집안일이라도 참여하도록 이끌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게 받은 용돈은 주로 어디에 쓸까.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40.4%는 자녀들이 ‘군것질’에 가장 많은 돈을 쓴다고 답했다. 이어 ‘팬시나 문구류 구입’ 21.4%, ‘저축’ 14.2%, ‘게임 등 취미활동’ 11.2%, ‘옷이나 화장품 구입’ 3.9%, ‘선물 구입’ 3.9%, ‘도서 구입’ 2.3% 순으로 나타났다.
이수현 맘앤톡 운영자는 “설문 결과를 보면 용돈 관리는 자녀가 주도적으로 하면서도 용돈기입장은 쓰지 않는 경우가 많다”며 “자녀의 경제관념은 부모의 영향도 큰 만큼, 초등학생 때부터 용돈을 계획적으로 쓰는 습관을 기를 수 있게 가정에서 꾸준한 경제 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미지제공=비상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