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부모소득 대기업. /자료=한국고용정보원 '재학 중 근로경험 유형에 따른 근로자 특성 및 노동시장 성과 차이' 보고서 캡처 |
부모 소득이 높은 대학생일수록 대기업 취업에 유리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고용정보원이 공개한 '재학 중 근로경험 유형에 따른 근로자 특성 및 노동시장 성과 차이' 보고서에 따르면 부모의 소득이 대학생의 근로경험 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재학 중 일자리 경험이 있는 대학생 2695명을 '자기계발형 일자리' 경험자(1313명)와 '생계형 일자리' 경험자(1382명)로 분류했다. 자기계발형 일자리 경험자는 부모로부터 학비를 지원받고 실습·인턴 등 전공에 부합하는 근로를 한 학생을 말하며, 생계형 일자리 경험자는 본인 스스로 혹은 학자금 대출을 통해 학비를 마련하고 아르바이트 등 전공과 잘 맞지 않는 근로를 한 학생을 말한다.
재학 중 생계형 근로경험자는 부모소득이 100만~300만원 미만인 경우가 51.1%로 가장 많았던 데 반해 자기계발형의 경우 부모소득이 300만~500만원 미만이 42.7%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월평균 부모소득이 높을수록 자기계발형 근로경험자의 분포비율이 높았고 '소득 없음' '안 계심'을 비롯한 월평균 부모소득이 낮은 그룹일수록 생계형 근로 경험자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 졸업 후 일자리의 기업규모를 1~9인, 10~99인, 100~499인, 500인 이상 등 네 그룹으로 나눠 분석한 결과 전체 졸업생의 40%가 10~99인 기업에 근무하고 있었다. 근로자 처우가 상대적으로 낫다고 평가되는 500인 이상 대기업에는 부모의 소득이 비교적 높은 자녀들이 대부분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