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석탄화력.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
30년 이상 된 노후 석탄화력발전기 10기가 폐지되고 나머지 석탄발전소에 대해선 환경설비 교체 등 전면적인 성능 개선이 이뤄진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오늘(6일) 서울 서초구 팔래스호텔에서 주형환 장관과 발전 5개사 사장들이 모인 가운데 '석탄화력발전 대책회의'를 갖고 이같이 확정했다.
정부는 우선 현재 가동중인 석탄화력발전 53기 가운데 2018년 폐지가 확정된 서천 화력 1, 2호기를 포함해 오는 2025년까지 30년 이상 노후 석탄발전 10기를 폐지하기로 했다. 나머지 43기 가운데 20년 이상 된 8기는 최대 2조 원을 들여 탈황·집진기 등 환경설비를 모두 교체하고 20년이 안 된 35기는 2019년까지 2400억원을 투자해 환경설비를 보강하는 등 성능 개선이 이뤄진다.
정부는 특히 석탄발전소가 몰려 있는 충남지역에 대해선 다른 지역보다 강화된 오염물질 저감 목표를 설정하고 내년부터 2년 동안 환경설비를 보강하기로 했다. 건설 중이거나 건설 예정인 석탄화력발전소 20기 가운데 공정률 90%를 넘긴 11기에 대해선 2030년까지 약 40%에 해당하는 오염물질을 추가로 감축하고 나머지 9기에 대해선 설계변경을 통해 건설단계부터 최고수준의 배출 저감시설을 갖추기로 했다.
정부는 또 신규 석탄발전은 원칙적으로 제한하고 늘어나는 전력수요는 저탄소·친환경 발전원으로 최대한 충당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이를 통해 오는 2030년까지 모두 10조원 규모의 투자가 이뤄지고 ▲미세먼지는 24% ▲황산화물은 16% ▲질소산화물은 57%가 감축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