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터키 대통령 독재. 지난 17일(현지시간) 터키 쿠데타로 희생된 이들의 장례식이 앙카라에서 거행되고 있다. /자료사진=뉴시스 |
터키 정부가 쿠데타를 진압하고 숙청에 나선 것과 관련, 서구 언론은 터키 민주주의의 승리로 볼 수 없는 상황이라고 평가하고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정권의 독재화 가능성을 우려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지난 17일(현지시간) 사설을 통해 "선출된 독재정권을 경계하라"고 강조했다.
신문은 에르도안 대통령이 평소 억제했던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민중을 거리로 불러내 쿠데타를 막은 데 대해 "아이러니"라고 꼬집었다. 가디언은 또 "거리로 나온 모든 국민이 에르도안 대통령을 방어하려고 한 것은 아니다"며 "다음에 일어날 일은 승리한 정부에게 겸허함과 인권 존중, 법치 재확인을 요구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는 지난 17일(현지시간) 사설을 통해 "정부가 통제력을 되찾았으나 순전한 터키 민주주의의 승리와는 거리가 멀다"고 분석했다. 또 "반대파를 탄압하는 것은 상황을 악화할 뿐"이라고 지적했다. 지난 15일 밤부터 6시간 동안 이어진 쿠데타에 연루된 혐의로 체포된 이는 군 장병뿐 아니라 판·검사까지 6000명에 육박한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도 사설에서 "지난 이틀간 혼란과 피로 얼룩진 사태로 볼 때 에르도안 대통령이 이 위기를 반란 가담 군인들을 처벌하는 것 뿐 아니라 어떤 반대파라도 진압하는 데 악용하면서 그 어느 때보다도 통제에 전념할 것이라는 점에 의심할 여지가 없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