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현 화해 치유 재단 이사장이 28일 재단 출범 기자간담회를 마치고 나서던 중 30대 남성에게 호신용 캡사이신 스프레이(빨간원 안)를 맞고 있다. /사진=뉴시스
김태현 화해 치유 재단 이사장이 28일 재단 출범 기자간담회를 마치고 나서던 중 30대 남성에게 호신용 캡사이신 스프레이(빨간원 안)를 맞고 있다. /사진=뉴시스

위안부 화해·치유 재단 김태현 이사장이 오늘(28일) 재단 출범 관련 기자간담회를 마친 뒤 캡사이신 세례를 받았다. 김태현 화해·치유 재단 이사장은 이날 오전 중구 바비엥2 지하1층 회의실에서 30여분 동안 내외신 기자들을 상대로 재단출범 의미 등을 설명한 뒤 퇴장하다 한 남성이 뿌린 호신용 캡사이신을 맞아 병원에 실려갔다.
김태현 이사장은 화해·치유 재단 출범에 반대하는 남성이 기습적으로 뿌린 호신용 캡사이신을 얼굴에 맞은 뒤 곧바로 119구급차량에 실려 병원으로 이송됐다. 경찰은 캡사이신을 뿌린 30대 남성을 현장에서 붙잡아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한편 이날 서울 중구 순화동 화해·치유 재단 사무실에서는 대학생·시민단체 등이 재단 설립에 반대하는 집회를 벌였다. 정대협(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역시 집회에서 "누구를 위한 화해와 치유인가. 누구에 의한 화해와 치유인가"라고 물으며 재단출범을 비판했다.


이들은 재단 설립이 피해자에게 더할 수 없는 '정치적 폭력행위'라며 "피해자들의 권리를 한낱 돈의 문제로 전락시키고 살아있는 역사를 봉인하는 한일 위안부 문제 합의를, 화해·치유 재단을 정의와 인권의 이름으로 반대한다"고 밝혔다.

화해·치유 재단은 일본 정부가 기금 10억엔(약 108억원)을 출연해 설립하기로 한 재단으로 지난해 12월 이뤄진 '한일 위안부 합의' 후속 조치로 진행됐다. 그러나 일본 측이 기금 출연 명목으로 일본대사관 앞 소녀상 철거를 요구하는 등 피해자 권리를 고려하지 않은 졸속합의라는 비판이 위안부 단체와 시민단체로부터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