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적인 폭염이 이어지고 있지만, 사무직에 종사하는 직장인들은 하루의 대부분을 실내에서 지내는 경우가 많아 오히려 더위 대신 찬 바람과 싸우는데 힘을 쏟고 있다.
그런데 실내에서만 장시간 머물다보면 탁한 공기와 추운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 더구나 환기도 거의 이뤄지지 않아 면역력이 떨어져 각종 질환에 취약한 몸 상태가 돼버린다. 사무실에서 특히 조심해야 할 질병들과 이를 예방할 수 있는 건강관리법을 모았다.
◆에어컨 바람과 건조한 실내공기, 안구건조증 유발할 수 있어
직장인은 업무상 컴퓨터를 바라보는 시간이 많을 수밖에 없다. 오랜 시간 전자기기를 집중해서 바라보게 되면 눈을 깜박이는 시간이 줄어들고, 지속적인 에어컨 사용으로 실내공기까지 건조해지면 안구건조증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이미 많은 현대인들이 앓고 있는 안구건조증은 자칫 가벼운 증상이라 생각할 수 있지만, 방치할 경우 결막염, 각막염 등으로까지 발전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특히 라식, 라섹 등의 시력교정술을 받은 적이 있다면 더욱 세심한 관리는 필수다. 현실적으로 컴퓨터를 사용하는 시간을 줄이기 어렵다면 사무실의 습도를 적절히 유지하도록 신경 써야 한다.
그런데 실내에서만 장시간 머물다보면 탁한 공기와 추운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가 많다. 더구나 환기도 거의 이뤄지지 않아 면역력이 떨어져 각종 질환에 취약한 몸 상태가 돼버린다. 사무실에서 특히 조심해야 할 질병들과 이를 예방할 수 있는 건강관리법을 모았다.
◆에어컨 바람과 건조한 실내공기, 안구건조증 유발할 수 있어
직장인은 업무상 컴퓨터를 바라보는 시간이 많을 수밖에 없다. 오랜 시간 전자기기를 집중해서 바라보게 되면 눈을 깜박이는 시간이 줄어들고, 지속적인 에어컨 사용으로 실내공기까지 건조해지면 안구건조증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이미 많은 현대인들이 앓고 있는 안구건조증은 자칫 가벼운 증상이라 생각할 수 있지만, 방치할 경우 결막염, 각막염 등으로까지 발전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특히 라식, 라섹 등의 시력교정술을 받은 적이 있다면 더욱 세심한 관리는 필수다. 현실적으로 컴퓨터를 사용하는 시간을 줄이기 어렵다면 사무실의 습도를 적절히 유지하도록 신경 써야 한다.
흔히 사용하는 개인용 선풍기의 경우, 가까운 곳에서 사용하게 되면 눈으로 지속적인 바람이 가해져 눈 속 수분을 날리므로 적당히 거리를 두고 이용하는 것이 좋다. 이 밖에 가습기를 활용해 주변 습도를 약 60% 정도로 조절하고, 무방부제 인공눈물을 틈틈이 점안해주면 눈의 수분감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안과 전문의 김정섭 원장은 “여름철 습한 공기 때문에 건조증 발생 가능성이 낮아진다고 생각하는 것은 오산”이라며 “실내 공기는 에어컨으로 인해 오히려 건조한 경우가 많으므로 눈 건강을 위해 더욱 신경을 써주어야 한다”고 권유했다.
◆냉방병 환자 증가세…사무실 찬바람에 하루 8시간 이상 노출
살인적인 더위에 늘어난 에어컨 사용으로 냉방병 환자도 증가 추세다. 특히 업무 시간 내내 차가운 에어컨 바람에 노출되는 직장인은 냉방병에 더욱 취약할 수밖에 없다. 냉방병 증상으로는 눈 충혈, 두통, 콧물, 피로감 등 감기와 비슷한 증상들이 많고, 심하면 위장 장애를 일으켜 설사가 동반된다. 대부분 찬 바람에서 벗어나 휴식을 취할 경우에 호전되지만, 오랜 시간 방치될 경우 고열과 근육통이 생길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직장인은 사무실을 벗어날 수 있는 시간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음식 섭취를 통해 냉방병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 좋다. 따뜻한 물을 자주 마셔주고 딸기, 시금치, 파프리카 등 비타민C가 많이 포함된 음식을 먹으면 예방에 도움이 된다. 이 밖에도 외출 시에는 얇은 긴 소매 옷을 챙겨 다니고, 배를 따뜻하게 유지해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야 한다.
◆인후염 등 각종 호흡기 질환도 조심해야
밀폐된 사무실에서 하루 종일 가동되는 에어컨 바람은 인후염과 같은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냉방 중에는 환기를 잘 하지 않기 때문에 실내 세균의 농도가 높아지고, 청결하게 관리되지 않은 에어컨은 세균이나 미세먼지를 내뿜기 때문. 인후염의 증상으로는 가벼운 기침, 건조감 등이 나타나지만 심해지면 두통과 고열, 식욕저하로 이어져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예방을 위해서는 우선 에어컨 필터를 1~2주에 한 번씩 주기적으로 청소해주고, 창문을 열어 실내 공기를 순환시켜주는 것이 필요하다. 호흡기 점막이 마르지 않도록 따뜻한 물이나 차를 수시로 마셔주고, 인후염 증세가 나타날 때는 개인 책상에 공기 정화 식물을 두면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
![]() |
◆냉방병 환자 증가세…사무실 찬바람에 하루 8시간 이상 노출
살인적인 더위에 늘어난 에어컨 사용으로 냉방병 환자도 증가 추세다. 특히 업무 시간 내내 차가운 에어컨 바람에 노출되는 직장인은 냉방병에 더욱 취약할 수밖에 없다. 냉방병 증상으로는 눈 충혈, 두통, 콧물, 피로감 등 감기와 비슷한 증상들이 많고, 심하면 위장 장애를 일으켜 설사가 동반된다. 대부분 찬 바람에서 벗어나 휴식을 취할 경우에 호전되지만, 오랜 시간 방치될 경우 고열과 근육통이 생길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직장인은 사무실을 벗어날 수 있는 시간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음식 섭취를 통해 냉방병 발생을 예방하는 것이 좋다. 따뜻한 물을 자주 마셔주고 딸기, 시금치, 파프리카 등 비타민C가 많이 포함된 음식을 먹으면 예방에 도움이 된다. 이 밖에도 외출 시에는 얇은 긴 소매 옷을 챙겨 다니고, 배를 따뜻하게 유지해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야 한다.
◆인후염 등 각종 호흡기 질환도 조심해야
밀폐된 사무실에서 하루 종일 가동되는 에어컨 바람은 인후염과 같은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기도 한다. 냉방 중에는 환기를 잘 하지 않기 때문에 실내 세균의 농도가 높아지고, 청결하게 관리되지 않은 에어컨은 세균이나 미세먼지를 내뿜기 때문. 인후염의 증상으로는 가벼운 기침, 건조감 등이 나타나지만 심해지면 두통과 고열, 식욕저하로 이어져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을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예방을 위해서는 우선 에어컨 필터를 1~2주에 한 번씩 주기적으로 청소해주고, 창문을 열어 실내 공기를 순환시켜주는 것이 필요하다. 호흡기 점막이 마르지 않도록 따뜻한 물이나 차를 수시로 마셔주고, 인후염 증세가 나타날 때는 개인 책상에 공기 정화 식물을 두면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