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진해운 신항 터미널 /사진=한진해운 제공 |
정부가 한진해운 물류대란의 책임당사자를 ‘한진그룹’으로 못 박았다.
5일 임종룡 금융위원장은 정례 기자간담회를 열고 “한진그룹과 대주주가 사회적 책임을 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융당국과 채권단의 지원 여부를 한진그룹이 이번 사태의 책임을 인정하느냐에 따라 결정하겠다는 것. 화주들이 한진그룹을 믿고 계열사 한진해운에 물건을 맡긴 만큼 그룹이 나서야 한다는 논리다.
최상목 기획재정부 1차관도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우량자산을 담보로 하는 것 등 한진해운과 대주주가 책임져야 정부가 법적 근거를 마련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6일 정부와 한진해운에 따르면 해외 곳곳의 항만 당국이 입·출항을 금지하고 하역 관련 업체들이 밀린 대금지급을 이유로 작업을 거부하고 있다. 5일 현재 운항선박 128척 중 79척(컨테이너선 61척, 벌크선 18척)이 비정상운항 중이다. 4일보다 11척이나 늘었다.
결국 한진그룹은 사태가 커지며 압박이 심해지자 5일 채권단과 다시 만났지만 큰 소득이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진해운 선박의 비정상운항의 원인이 되는 하역비, 운반비, 용선료 등 지급에 당장 필요한 돈은 2000억원에 달한다.
이렇게 갈등을 겪는 사이 화주들의 컨테이너 30만개는 바다위에 계속 떠다니고 있다. 그나마 해외 법원들이 압류금지명령을 받아들이고 있어서 강제집행을 면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 신호다.
이번 사태에 휘말린 수많은 수출업체들은 대책마련에 바빠졌다. 공해상에 떠돌거나 항만에 억류된 배 안에 납품 화물이 들어있어서 납기일을 맞추기 어렵다는 것. 게다가 공장에서 만든 제품들은 배를 구하기 어려워 대체선박을 찾는 데 집중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해운업계 관계자는 “정부와 한진그룹 모두가 책임을 피하긴 어렵다”면서 “피해자가 늘어나지 않도록 힘을 모으는 게 우선”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