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이 즐거운 비명을 지르고 있다. 정부의 가계부채 대책안 발표로 시중은행의 대출 문턱이 높아지면서 수요자가 저축은행으로 몰렸기 때문. 이른바 ‘풍선효과’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 6월 말 기준 저축은행 대출잔액은 40조원에 육박한다. 6개월 전 대비 3조9000억원 늘어난 수치다. 여기에 기준금리가 현 수준을 유지하고 정부가 8·25 대책을 발표하면서 저축은행의 대출잔액은 최근 더 많이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 |
/사진=이미지투데이 |
수익성도 개선됐다. 같은 기간 국내 79개 저축은행의 당기순이익은 4837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74.1%(2058억원) 증가했다. 특히 2014년 3분기 이후부터 지금까지 흑자행진이 계속됐다.
하지만 저축은행의 대출증가와 수익개선을 긍정적으로 보기엔 무리가 있다. 일단 시중은행 문턱이 높아지면서 수요자가 저축은행에 몰린 점은 가계부채의 질이 악화됐음을 뜻한다. 한국은행이 깜짝 기준금리 인상을 단행할 경우 저축은행 대출자는 더 큰 부실위험에 휩싸이게 된다.
물론 한은이 당장 금리인상에 나설 가능성은 희박하다. 오히려 추가 금리인하 압박에 시달리는 상황이다. 또 대출문제는 저축은행뿐 아니라 금융권 전체가 해결하기 쉽지 않은 과제로 꼽힌다. 그럼에도 저축은행 등 제2금융권의 대출규모가 계속 증가하는 것은 또 다른 가계부채 뇌관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은행권 관계자는 “가계대출 부실위험은 금융권 전체의 문제”라며 “중요한 것은 대출의 질이다. 제2금융권이나 대부업 대출이 늘어난다는 것은 금리인상기에 파산 위험이 그만큼 커지는 신호로 읽힌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중장기적으로 제2금융권의 대출 증가를 억제하거나 철저한 리스크 관리가 뒷받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축은행의 연속 흑자행진 역시 불안하긴 마찬가지다. 이번 수익개선은 대출이 늘어나면서 이자수익이 증가한 영향이 컸다. 이자장사로 돈을 번 셈이다. 여기에 일부 저축은행은 기준금리 정책과 무관하게 예금금리 인상을 단행했다. 저축은행이 충분히 금리를 낮출 수 있음에도 과도한 예대마진을 챙긴다는 비난이 나올 수 있는 대목이다.
실제로 저축은행의 대출금리는 시중은행 대비 5배가량 높다. 저축은행의 지난해 1년 평균 신용대출은 25.5% 수준이다. 올해는 이보다 1~2%포인트 낮게 책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시중은행의 신용대출 평균금리는 연 5%대 수준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제2금융권의 대출 흐름을 파악하고 이자수익 현황에 대해서도 면밀히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
☞ 본 기사는 <머니S>(www.moneys.news) 제454호에 실린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