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진해운 사태가 일파만파로 커지는 가운데 최은영 유수홀딩스 회장이 가장 큰 책임당사자로 거론된다.
최 회장은 2006년 11월 남편인 고 조수호 한진해운 회장이 작고한 뒤 2007년부터 8년간 회사를 이끌었고 2014년 시숙인 조양호 한진그룹 회장에게 회사를 넘겼다. 업계에선 최 회장이 경영을 맡았을 당시 무리한 용선계약을 추진한 것이 조선·해운업 경기악화와 맞물렸고 결국 법정관리에 처하게 됐다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 |
/사진=뉴스1 허경 기자 |
경영에서 물러난 뒤에도 최 회장은 미심쩍은 행동으로 논란을 키웠다. 지난 4월 한진해운이 유동성 위기로 자율협약을 신청하기 직전 최 회장은 이 회사 보유주식을 급거 처분해 10억원대 손실을 피하면서 내부자거래 논란을 일으켰다. 또 유수홀딩스는 자금난에 시달리는 한진해운으로부터 150억원대 부동산 임대수익을 올렸다. 계열사들의 주요수익도 한진해운에서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급기야 신품가 100억원을 호가하는 초호화요트를 보유한 사실까지 드러났다.
갈 곳을 잃은 한진해운 선박들이 유령선처럼 공해를 떠도는 사이 최 회장 일가의 현재 보유자산은 2000억원에 육박한 것으로 전해진다. 결국 최 회장은 뒤늦게 한진해운 사태와 관련해 사회에 기여할 방법을 찾아보겠다고 밝혔다. ‘권한’은 ‘책임’과 반드시 함께한다는 사실을 최 회장이 진작 깨달았다면 한진해운의 운명은 지금과 달랐을지도 모른다.
☞ 본 기사는 <머니S>(www.moneys.news) 제454호에 실린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