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진해운이 부산 웅동 배후단지 인근에 임시로 컨테이너를 쌓아 두고 있다. /자료사진=뉴스1 |
한진해운 사태 관련 피해 규모가 커지고 있다. 오늘(21일) 유기준 새누리당 의원이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어제(20일) 기준 KOTRA가 해외 지사를 통해 접수받은 한진해운 사태 관련 피해 사례는 총 207건에 달한다.
주요 피해 유형은 ▲납기 지연(127건) ▲하역비 등 추가 비용 발생(24건) ▲운송비 급등(20건) 등으로 나타났다.
또 국내 기업의 피해 접수를 담당하는 '수출입화물 물류애로 신고센터'(한국무역협회 운영)가 지난 18일까지 접수받은 피해 사례는 397건으로 피해 규모는 1억4700만달러(약 1654억원)에 달한다.
유 의원은 "한진해운 사태 관련 대응 자료를 보면 피해 규모가 생각보다 심각하다"며 "이와 같은 사태가 지속되면 우리 해운 산업이 재기의 발판을 잃을 수도 있는 만큼 더 이상 피해가 확산되지 않도록 정부가 실시간으로 대응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정부 발표에 따르면 한진해운 선박에 기선적된 물량이 54만TEU(TEU당 6m 컨테이너 1개)"라며 "사태가 장기화될수록 납기 지연이나 운송비 급등으로 인한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날 수 있는 만큼 입항 거부나 하역 중단 상황에서의 대응 요령 등을 실시간으로 전파해 적절한 조치가 따를 수 있도록 정부와 유관 기관이 총력을 다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