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공=채이배 국민의당 의원실 |
금융공공기관 임원 10명 중 4명이 ‘낙하산 인사’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정무위원회 채이배 국민의당 의원은 금융공공기관 및 공공기관 지분보유 금융회사 27곳의 임원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현직 임원 255명 중 97명이 관피아(모피아 포함), 정피아 출신의 낙하산 인사라고 27일 밝혔다.
채이배 의원실에 따르면 전체 임원 255명 중 17%에 해당하는 44명은 정부 관료 출신이었고 53명(21%)은 정권과 관련된 인사로 조사됐다.
27개 금융기관 중 임원 대비 낙하산 인사 비중이 50% 이상인 기관은 9곳인 것으로 나타났다. 9곳 중 5곳은 기업은행 및 기업은행 계열 금융기관이었다. 관피아 비중 순으로 상위 10위까지에 해당하는 11곳 중 4곳이 기업은행 및 기업은행 계열 금융기관이었고 3곳은 예금보험공사와 예금보험공사가 지분을 갖고 있는 금융기관으로 집계됐다.
의원실은 기업은행의 대표적인 낙하산 인사로 새누리당 대선캠프 출신인 이수룡 감사, 한나라당 대표 특보 및 강원도 정무부지사를 지낸 조용 이사, 뉴라이트 싱크넷 성효용 이사 등을 꼽았다.
기업은행 계열 금융기관에는 자유총연맹 중앙회 방형린 이사가 IBK캐피탈에 감사위원으로, 새누리당 중앙당의 송석구 부대변인이 IBK저축은행의 사외이사로 재직 중이다.
신용보증기금의 경우 임원 14명 중 9명(64%)이 낙하산 인사로 파악됐다. 특히 신용정보기금의 낙하산 인사 9명 중 7명이 정피아로 김기석 전 새누리당 의원이 감사로, 이기동 전 충복도의회 의장이 사외이사로 재직하고 있었다.
예금보험공사의 경우 예보와 예보가 출자한 금융기관의 관피아는 총 12명이었다. 곽범국 예보 사장을 포함해 8명이 기획재정부 출신으로 확인됐다. 예금보험공사에는 국민통합 21, 부산사하갑 지구당 위원장 출신인 김영백, 대통령경호실 부이사관 이명선 등이 비상임 이사로 재직하고 있다.
예보 외에 예보가 지분을 갖고 있는 우리은행에는 새누리당 비례대표를 신청한 정수경·정한기, 한나라당 부대변인 출신 홍일화, 새누리당 이승훈 청주 시장의 처 천혜숙 등이 사외이사로 근무 중이다.
기술보증기금의 최성수 감사(새누리당 서병수 의원 후원회 회계책임자), 양희관 사외이사(한나라당 부산시 의원), 한국거래소 권영상 상임감사(한나라당 국회의원선거 경남선대본부장), 증권금융 조인근 감사(여의도연구소 선임연구원 및 대통령비서실 비서관), 코스콤의 최형규 사외이사(대통령실 부이사관 출신) 등도 정피아로 분류됐다.
채이배 의원은 “대통령이 직접 세월호 대국민 담화를 통해 ‘관피아는 우리 사회 전반에 수십 년간 쌓이고 지속되어 온 고질적인 병폐로 반드시 끊어내겠다’고 약속했지만 여전히 관료 출신의 낙하산 인사는 지속되고 있다”며 “전문성도 없고 업무에 문외한인 정치권이나 관료 출신을 논공행상 식으로 투입하고 있다”고 질타했다.
이어 “이명박·박근혜 정부에서 조선업에 문외한인 정피아들을 대우조선해양의 사외이사로 선임해 회사 경영진을 제대로 견제하지 못하고 부실을 키운 결과가 바로 대우조선해양 대규모 부실 사태”라며 “특히 금융 기관의 경우 금융이라는 고도의 전문성은 물론 윤리성, 책임성을 갖춰야 한다는 측면에서 전문성 없는 정피아 낙하산 인사를 즉시 해임시켜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