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에 따르면 10명 중 7명(71.7%)이 헤어진 연인과 친구가 될 수 없다고 답했다.
헤어진 연인과 친구가 될 수 없는 이유에 대해 남성 과반은 ‘친구가 되려는 건 한 쪽의 이기적인 욕심이라 생각해서’(51.6%)라 답했다. ‘상대에게 좋은 감정이 남아서’(20.7%), ‘감정이 상한 상태로 헤어져서’(15.7%)가 뒤를 이었다. 여성은 ‘감정이 상한 상태로 헤어져서’(27.3%) 친구가 될 수 없다고 응답했다. 이어 ‘친구가 되려는 건 한 쪽의 이기적인 욕심이라 생각해서’(26.1%), ‘상대에게 좋은 감정이 남아서’(18.9%)를 꼽았다.
헤어진 뒤에도 친구로 남았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 남성은 ‘함께 어울리는 무리가 같아서’(40.1%)라고 말한 반면, 여성은 ‘아직도 내게 필요한 사람이라’(34.8%) 친구로 남는다고 답했다. 기타 의견으로는 ‘친구로는 좋은 사람인 걸 알아서'(26.2%), ‘추억이 많아 정 때문에’(11.2%), ‘많이 사랑하지 않아 감정이 없어서’(6.9%) 등이 있었다.
한편, 미혼남녀에게 ‘좋은 이별’에 대해 묻자 남녀 공히 ‘좋은 이별이란 없다’(61.1%)고 응답했다. 또한 ‘헤어진 후에도 친구로 지내는 것’(9.6%) 보다는 ‘마주칠 일 없이 깔끔히 헤어지는 것’(29.3%)을 더 나은 이별로 바라봤다.
미혼남녀가 생각하는 ‘최악의 이별’은 ‘바람, 환승 등 다른 사람이 생겨 이별 통보하는 것’(41.4%)이었다. 이어 남성은 ‘상대에게 이별을 유도’(30%), ‘헤어진 후 상대에게 매달리는 것’(26.3%)을 꼽았다. 여성은 ‘잠수나 문자 통보 등 예의 없는 방법으로 이별 통보’(30.7%), ‘상대에게 이별을 유도’(20.1%) 하는 것을 최악의 이별 방법이라 답했다.
<이미지제공=듀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