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1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6차 산업경쟁력 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뉴스1 구윤성 기자 |
유일호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31일 "단기 수주절벽에 대응하기 위해 공공선박 조기발주, 선박펀드 활용 등을 통해 2020년까지 250척이상의 발주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유 부총리는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6차 산업경쟁력 관계장관회의'에서 조선·해운업의 경쟁력 강화방안과 관련 이같이 밝혔다.
정부는 우선 기존의 조선산업을 수익성 위주로 재편하고 고부가가치 선박서비스 분야로 외연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유 부총리는 "장기간의 상황 악화에도 대응할 수 있도록 하고 시황이 개선되면 기회를 놓치지 않도록 고강도의 자구노력을 통해 재무건전성을 확보하겠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유휴설비와 인력의 감축, 비핵심 자산 정리 등 사별 자구계획이 차질없이 이행되도록 엄밀하게 점검하겠다"며 "부실규모가 큰 해양플랜트는 수익성 평가를 대폭 강화해 국내 업체 간 과당 저가수주를 방지하겠다"고 강조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상선 분야를 중심으로 효율화하고 중장기적으로 주인을 찾아 책임경영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이날 발표에서는 구조조정으로 경제적 어려움이 가중된 조선업 밀집지역에 대한 지원 방안도 나왔다. 유 부총리는 "내년까지 긴급경영안정자금 등 1조7000억원을 투입해 금융애로를 해소하고 향후 5년간 1조원 규모의 공공발주사업 참여를 통해 일감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중장기적으로는 조선업에 편중된 지역산업 구조를 개선하고 새로운 산업을 발굴할 방침이다.
해운산업과 관련해서는 선박, 화물, 인력 등 3대축을 중심으로 경쟁력을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선박신조 프로그램 등 총 6조5000억원의 금융지원을 제공하고 선사와 화주가 선박을 공동발주하는 협력모델 등을 도입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