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삼구 금호아시아나그룹 회장이 금호그룹 재건의 마지막 관문인 금호타이어 인수에 성공할지 업계의 관심이 쏠린다. 인수를 위한 예비입찰이 임박한 상황에서 해외업체와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돼 매각예상가가 치솟는 가운데 자금확보가 관건으로 떠올랐다.
박 회장은 최근 언론에 금호타이어 인수를 전략적투자자(SI)나 재무적투자자(FI)와 같이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 회장이 금호타이어 인수전략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인데 업계에서는 박 회장이 단독 자금마련에 한계를 느껴 이 같은 방침으로 선회한 것으로 풀이한다.
![]() |
박삼구 금호아시아나 회장. /사진제공=금호아시아나 |
그는 채권단 보유 금호타이어 지분에 대한 우선매수청구권을 가졌다. 하지만 채권단은 이 권한을 박 회장 ‘개인’에게만 한정짓는다는 방침이다. 투자자와 컨소시엄을 통해 참여할 경우 박 회장은 이 권한을 상실한다. 컨소시엄을 구성해 입찰할 경우 박 회장은 다른 인수의향자들과 ‘무한경쟁’을 해야 한다. 아무리 많은 금액을 써낸다 하더라도 인수를 장담하기 어려워진다.
설상가상으로 수많은 관련업체와 투자자가 중국에 공장을 가진 금호타이어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고 입찰에 참여할 기세다. 현재 일본 요코하마타이어, 중국 켐차이나 등이 인수의사를 드러냈으며 거대 사모펀드 어피니티도 관심을 가진 것으로 전해진다. 이에 따라 단순 지분가치로만 7000억원을 웃도는 채권단 보유 금호타이어 지분 가치는 1조원을 훌쩍 넘어설 전망이다.
재계는 박 회장이 투자자와 함께 참여하면서도 우선매수청구권을 가질 수 있는 방향으로 채권단과 협상을 진행할 것으로 내다본다. 하지만 이미 매각공고를 낸 상황에서 방침을 바꾸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여겨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