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료사진=이미지투데이 |
6일 한국노동연구원이 낸 '청년층 경제활동상태 선택 요인' 보고서에 따르면 조사대상인 청년 5687명(취업자 4290명, 미취업자 1397명) 가운데 취업자의 53.2%가 부모가 생활비를 부담한다고 답했다.
반면 본인이 부담한다는 비율은 26.7%에 그쳤고 6.5%는 배우자가 부담한다고 답했다.
이는 월세나 전세 등 주거비와 생활물가는 지속적으로 오르는 반면 청년들이 자력으로 생활할 수 있을 정도의 임금을 주는 일자리가 부족한 탓으로 분석된다.
기타 응답이 13.5%였는데 여기에는 생활비의 '가구원 간 공동 부담'이 포함됐다.
따라서 부모가 전부 혹은 일부라도 생활비를 부담하는 비율은 53.2%보다 더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캥거루족은 학교를 졸업해 자립할 나이가 되었는데도 부모에게 경제적으로 기대어 사는 젊은이들을 일컫는 용어다. 유사시 부모라는 단단한 방어막 속으로 숨어버린다는 뜻으로 '자라족'이라고도 한다.
일본에서는 1990년대에 문제가 됐던 20∼30대의 캥거루족의 상당수가 35~44세 연령대의 중년이 돼서도 부모에 의존하는 중년 캥거루족으로 남아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들을 두고 '기생(parasite) 독신'이라고 하기도 한다.
이는 취업 후 부모에게서 경제적 지원을 받지 않는 것이 보편적인 선진국과는 뚜렷하게 대비되는 현상이다. 선진국도 캥거루족이 갈수록 늘어나고 있지만 현재 우리나라처럼 지배적인 현상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