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적으로 폭등한 전셋값 탓에 서민 전세대출이 1년 사이 8조1000억원이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서울 송파구의 한 공인중개업소. /사진=뉴시스 DB
지속적으로 폭등한 전셋값 탓에 서민 전세대출이 1년 사이 8조1000억원이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서울 송파구의 한 공인중개업소. /사진=뉴시스 DB
천정부지로 치솟은 전세가격 여파에 서민 전세금 대출 규모가 1년 새 눈덩이처럼 불었다.
8일 부동산업계와 금융감독원 등에 따르면 지난 6월말 기준 금융권 전체 전세자금 대출 잔액은 49조8000억원으로 1년 전(41조7000억원)보다 8조1000억원(19.4%) 늘었다.

같은 기간 은행권만 보면 전세대출 잔액은 44조8000억원으로 1년 새 18.8%(7조1000억원) 증가했다. 최근 급증세가 이어진 가계대출 증가율(11.1%)을 크게 상회하는 수준이다.


이처럼 전세대출 규모가 불어난 것은 전세수요가 많음에도 저금리 탓에 집주인들의 월세 선호현상이 짙어지며 전셋값이 계속 올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최근 부동산114 조사에 따르면 서울 지역 입주 5년 이하 아파트 전세가격은 3.3㎡ 당 1791만원으로 서울 평균 매매가격 1886만원과 큰 차이가 없었다. 특히 서울시내 25개 자치구 중 16개구는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입주 5년 이하 새 아파트 전세가격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집값이 떨어져 이른바 ‘깡통전세’ 우려가 커진 이유도 이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