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 민영화. /사진=머니S DB
우리은행 민영화. /사진=머니S DB
16년간 정부가 소유했던 우리은행의 민영화가 성사됐다. 우리은행 지분 29.7%는 국내외 보험사, 증권사, 사모펀드(PEF) 등 7곳의 과점주주가 나눠 인수했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13일 우리은행 지분 최종 낙찰자로 동양생명(4.0%) 미래에셋자산운용(3.7%) 유진자산운용(4.0%) 키움증권(4.0%) 한국투자증권(4.0%) 한화생명(4.0%) IMM프라이빗에쿼티(6.0%) 등 7곳을 선정했다고 발표했다.

기존 우리은행 최대주주인 예금보험공사 잔여 지분율(21.4%)을 과점주주 지분이 상회함에 따라 실질적 민영화에 성공했다. 2001년 예보가 설립한 우리금융지주 출범 이후 16년 만에 민간의 품으로 돌아가는 셈이다.


앞서 정부는 외환위기(IMF) 이후 부실화된 옛 상업은행과 옛 한일은행에 1998년 3조3000억원 출자를 시작으로 모두 12조8000억원의 공적자금을 우리금융에 투입했다. 이후 2010년부터 2014년까지 모두 네 차례에 걸쳐 우리은행 경영권 매각에 나섰으나 모두 실패했고 다섯 번째 시도 만에 우리은행 민영화를 성사시킨 것이다.

이번 지분 매각으로 회수한 공적자금은 약 2조4000억원 규모다. 기존 회수금액(약 8조2000억원)과 합하면 10조6000억원(회수율 83.4%)을 거둬들였다. 정부는 빠른 시일 내에 우리은행 잔여지분을 매각해 공적자금을 100% 회수할 계획이다.

정부는 다음달 중순까지 인수대금 납입과 주식 양도 절차를 마무리하고 금융위 승인 절차 등을 거쳐 매각 절차를 종결할 예정이다. 매각절차가 끝나는 즉시 예보와 우리은행이 맺은 경영정상화이행약정(MOU)도 해지된다.


낙찰자 중 동양생명과 키움증권 한국투자증권 한화생명 IMM PE 등 5곳은 사외이사를 추천해 우리은행 경영에 직접 참여한다. 과점주주가 추천한 사외이사들은 다음달 30일 우리은행 임시 주주총회에서 선임된다. 과점주주들은 내년 3월 차기 우리은행장 선임과정에서 임원추천위원회에 참여해 인사권도 행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