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와 하늘, 최첨단 경제자유구역(송도·청라·영종)과 근대역사가 살아 숨쉬는 구도심이 공존하는 도시 인천. 이곳은 항만과 공항, 산업단지 등 산업도시로서의 요건을 완벽하게 갖췄다. 대한민국 수도인 서울과 맞닿아 있고 중국과도 가까워 그 어느 도시보다 경제적으로 융성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큰 도시다.
인천이 최근 인구 300만명 시대를 맞았다. ‘짠물도시’로 불려온 인천이 서울 ‘위성도시’를 벗어나 ‘동북아 경제중심도시’로 부상하면서 대한민국 경제의 심장으로 비상할 기세다.
하지만 그 심장을 갈라보면 인천의 속사정은 소금을 뿌린 듯 쓰라리다. 덩치는 커졌지만 정작 인천시민이 체감하는 삶의 질은 팍팍하다. 빚이 많아 ‘부채도시’라는 오명을 벗지 못하고 생활 임금은 전국 평균에도 못 미친다. 전국 각지에서 몰려온 서민들은 제각기 먹고살기 바빠 단합된 힘을 보여주지 못한다. 신·구도심의 양극화는 더욱 심해졌다. 서울로 대학을 가고 출퇴근하다 보니 인천 소식에 관심없는 시민도 적지 않다.
인천시가 산업단지구조 고도화, 고용 활성화, 문화·예술 인프라 구축 등 내실을 키우지 않으면 300만 시대를 오래 누리지 못할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예측이 나오는 이유다.
인천이 최근 인구 300만명 시대를 맞았다. ‘짠물도시’로 불려온 인천이 서울 ‘위성도시’를 벗어나 ‘동북아 경제중심도시’로 부상하면서 대한민국 경제의 심장으로 비상할 기세다.
하지만 그 심장을 갈라보면 인천의 속사정은 소금을 뿌린 듯 쓰라리다. 덩치는 커졌지만 정작 인천시민이 체감하는 삶의 질은 팍팍하다. 빚이 많아 ‘부채도시’라는 오명을 벗지 못하고 생활 임금은 전국 평균에도 못 미친다. 전국 각지에서 몰려온 서민들은 제각기 먹고살기 바빠 단합된 힘을 보여주지 못한다. 신·구도심의 양극화는 더욱 심해졌다. 서울로 대학을 가고 출퇴근하다 보니 인천 소식에 관심없는 시민도 적지 않다.
인천시가 산업단지구조 고도화, 고용 활성화, 문화·예술 인프라 구축 등 내실을 키우지 않으면 300만 시대를 오래 누리지 못할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예측이 나오는 이유다.
![]() |
/사진=뉴스1 최현규 기자 |
◆덩치 커졌지만 내실은 빈약
1979년 100만 시대를 처음 열었던 인천시는 1992년 200만 시대를, 24년 만인 올해 300만 시대를 맞았다. 인천시 인구는 지난 10월 말 기준 300만445명으로 집계됐다. 서울과 부산에 이어 세번째로 300만 인구를 돌파한 것이다.
인구 300만명이 갖는 의미는 크다. 이제 국내에서 300만명이 넘는 도시가나올 가능성이 낮기 때문이다. 대구(251만명)시는 인구가 감소세고 대전시(151만명)와 광주시(147만명)는 인구가 150만명 안팎에 머문 상태다. 반면 인천은 조만간 인구 350만명인 부산을 따라잡을 기세다. 인천이 대한민국 제2도시가 될 수 있다는 뜻이다.
인천 군·구별 인구는 ▲중구 11만9093명 ▲동구 7만2188명 ▲남구 42만3384명 ▲연수구 33만4752명 ▲남동구 54만2945명 ▲부평구 56만2539명 ▲계양구 33만4132명 ▲서구 52만1248명 ▲강화군 6만8637명 ▲옹진군 2만1527명 등이다. 특히 인천경제자유구역인 영종·청라·송도의 총 인구수가 올 하반기 25만명을 넘었다. 지난 2003년 첫 조사 당시 2만5778명에 비해 10배가량 늘어난 수치다.
문제는 출산율이 인천시 인구증가를 견인한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2012년 2만7780여명이던 인천 신생아 수는 지난해 2만5490명으로 줄었다. 인천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자녀 수)은 약 1.22명으로 전국평균 1.24명보다 낮고 인구 1000명당 신생아 수도 8.8명에 불과하다. 인구가 가파르게 늘었음에도 신생아 수가 줄었다는 것은 인천의 심각한 고민거리다.
인구증가의 직접적 원인은 다른 데 있다. 전세난민 등 사회적 요인 때문이다. 서울은 지난 5월 28년 만에 1000만 인구 시대의 막을 내렸다. 전셋값이 폭등하면서 ‘탈서울’ 현상이 가속화된 탓이다. 따라서 수도권 및 서울시민이 대거 인천시로 이동한 것으로 관측된다. 거꾸로 말하면 서울의 집값이 안정화되면 ‘탈인천’ 현상이 일어날 것이라는 의미다. 유입된 인구를 붙잡을 카드가 절실하다.
![]() |
송도2교. /사진제공=인천경제자유구역청 |
◆내실 성장 없으면 ‘탈인천’ 불가피
인천의 가장 시급한 과제는 고용과 부채문제다. 인천은 전국에서 가장 빚이 많은 도시다. 11조원이 넘는 부채를 안고 있다. 지난해 인천 예산 대비 채무비율이 40%에 육박하며 파산 직전까지 내몰렸다. 올 들어 37.1%로 낮아졌지만 채무보증 등 위험요소를 안고 있어 여전히 위험단계다. 인구증가로 복지비용 등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부채문제를 하루빨리 털어야 한다.
나아가 인천의 제조업을 이끌어온 남동산업단지 공장 가동률이 60%대로 곤두박질쳤다. 그만큼 놀고 있는 공장이 많아졌다. 남동산단 내 직원들은 IMF 외환위기 당시를 회상하며 위기감을 느끼고 있다.
일자리 문제는 인천의 가장 큰 골칫거리다. 경인지방통계청에 따르면 인천시의 지난 10월 기준 실업률은 4.4%로 경기도 평균실업률(3.7%)보다 높고 고용률은 61.7%로 경기도 고용률(61.8%)에 못 미친다.
고용의 질도 좋지 않다. 임금수준이 낮은 데다 이마저도 지키지 않는 업체가 많다. 최저임금 인천대책위원회와 알바노조 인천지부가 지난 6월 인천지역 시간제 직원을 대상으로 노동실태를 조사한 결과 48%가 올해 법정 최저임금 6030원도 받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응답자의 평균 시급은 최저임금에 못 미치는 5583원으로 집계됐다. 이를 월급(주 40시간 기준, 월 209시간 기준)으로 환산하면 116만원에 불과하다.
인천시는 근로자에게 인간다운 삶을 보장한다는 취지로 내년부터 생활임금을 시행하기로 했다. 인천이 내년도 예산에 반영한 생활임금 시급은 6880원. 하지만 이 금액은 생활임금을 시행 중인 서울시(7145원)나 경기도(7030원), 광주시(7839원) 등 다른 광역자치단체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임금이 낮은 데 비해 물가수준이 높은 것도 문제다. 지난달 인천의 소비자물가지수는 110.75(2010년=100.0)로 서울(111.41)보다는 낮지만 경기도(109.76)보다 높았다. 이는 불안정한 생활로 직결되고 ‘탈인천’의 주된 원인이 될 수 있다. 서울로 출퇴근하는 시민이 많은 이유기도 하다.
신·구 도심간 격차문제도 풀어야 할 과제다. 송도·청라·영종 등 신도시는 개발에 힘입어 인구가 늘었지만 중구·동구·남구 등 구도심은 쇠퇴현상이 가속화되고 있다.
김천권 인하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는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인천 구도심의 문화자원을 적극 활용하지 못한 채 경기침체 직격탄을 그대로 맞은 게 패착이었다”고 지적했다.
또한 김 교수는 송도·청라·영종 신도시에 쏟아지는 분양물량의 공급과잉을 우려했다. 그는 “부가가치와 일자리 창출력이 큰 기업이 아직 들어오지 않았고 빌딩 공실률도 큰 상황에 분양물량이 엄청나게 쏟아져 다소 걱정스럽다”며 “인천이 서울 직장인들의 ‘베드타운’으로 전락하지 않으려면 고용문제와 임금구조 개선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 본 기사는 <머니S>(www.moneys.news) 제463호에 실린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