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김부겸(왼쪽부터) 의원, 문재인 전 대표, 박원순 서울시장, 정의당 심상정 상임대표,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 안희정 충남도지사, 이재명 성남시장, 국민의당 천정배 전 대표가 2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야권 비상시국정치회의에 참석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뉴시스DB
더불어민주당 김부겸(왼쪽부터) 의원, 문재인 전 대표, 박원순 서울시장, 정의당 심상정 상임대표,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 안희정 충남도지사, 이재명 성남시장, 국민의당 천정배 전 대표가 20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야권 비상시국정치회의에 참석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뉴시스DB
야권 대선주자들이 20일 '최순실 게이트'에 따른 수습방안을 논의키 위해 모인 자리에서 박근혜 대통령에 대한 탄핵 추진을 논의토록 국회와 야 3당에 요청했다.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 국민의당 안철수 전 상임대표, 박원순 서울시장, 안희정 충남지사, 김부겸 의원, 국민의당 천정배 전 공동대표, 정의당 심상정 상임대표, 이재명 성남시장 등 8명은 이날 국회에서 '비상시국 정치회의'를 열어 이같이 합의했다.

이들은 "우리는 박 대통령의 범죄사실이 명백하고 중대해 탄핵 사유가 된다는 점을 확인하고 국민적 퇴진 운동과 병행하여 탄핵 추진을 논의해 줄 것을 야3당과 국회에 요청한다"고 합의했다.


또한 "촛불민심과 국민 의사를 폭넓게 수렴해 대통령 퇴진과 탄핵에 따른 국정 공백을 최소화하기 위해 '국회 주도의 총리 선출 및 과도내각 구성' 등 세부 수습방안을 조속히 마련할 것을 야 3당에 요청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합의문 작성에 앞서 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는 모두발언을 통해 "지금이라도 대통령이 결단을 내린다면 대통령이 명예롭게 퇴진할 수 있도록 협력하겠다. 뿐만 아니라 퇴진 후에도 대통령의 명예가 지켜질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을 하겠다"고 제시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전 공동대표도 "질서 있는 퇴진과 함께 여야 합의 총리 선임과 탄핵을 병행 추진해야 한다"며 "지난 11·12 시민혁명의 날에 국민들은 이미 박 대통령이 대한민국 대통령이 아니라고 판단했다"고 비판했다.


민주당 김부겸 의원도 "대통령에 정치적 책임, 탄핵을 물을 수밖에 없다"며 "대통령 및 총리가 수습할 역량이 있다고 보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이 자리에 초청된 심상정 정의당 대표는 "만약 박 대통령이 그때(26일)까지 자진사퇴를 하지 않는다면 국회는 헌법에 의거해 탄핵 절차에 들어가야 한다"고 목청을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