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정교과서 집필진. 이준식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염동열 새누리당 의원 등이 오늘(28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정 역사교과서 관련 당정협의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
국정교과서 집필진이 공개된다. 교육부는 지난해 국정교과서 집필진으로 46명이 참여하고 있다고만 밝히고 신형식 이화여대 명예교수를 제외한 나머지 명단을 공개하지 않아 '밀실 집필' 논란을 빚어 왔다.
교육부는 오늘(28일) 오후 국정교과서 현장 검토본을 전용 웹사이트에 e북 형태로 공개하고, 집필진과 편찬 기준을 별도로 발표한다. 교육부는 당초 이날부터 한달간 의견 수렴을 거쳐 다음해 1월 국정교과서 최종본을 확정하고, 2월 초 인쇄해 3월 중 전국 중·고교 6000곳에 적용할 방침이었다.
교육부는 다음달 23일까지 의견 수렴을 진행하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현장 검토본 내용, 집필진 편향성 등에 대한 강력한 논란이 제기되면 의견 수렴 기간이 길어질 수 있어 국정교과서를 현장에 적용하기까지 얼마나 시간이 걸릴지 예측할 수 없다는 관측도 나온다.
우선 대한민국 수립일이 헌법 전문에 기술된 1919년 3월1일이 아닌 1948년 8월15일로 반영되거나 위서로 판명된 '환단고기' 내용이 포함되는 등 교육 현장과 역사 학계의 여론과 배치되는 내용이 검토본에 서술된 사실이 확인되면 국정교과서 반대 여론이 더욱 거세질 수 있다.
새마을운동이 검토본에 어떻게 서술되는지도 주목할 만하다. 그동안 새마을운동은 유신 독재의 산물이라는 부정적 평가가 적지 않았지만, 국정교과서에 박정희 정권을 미화하는 내용이 담길 것이라는 전망이 꾸준히 제기돼 왔기 때문이다.
또 집필진 가운데 보수적인 태도를 취하는 사람들이 다수 포함된 것이 확인되면 '우편향' 교과서라는 비판이 확산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