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울 시내 한 아파트 단지. /사진=뉴시스 DB |
유형별로는 아파트 4.8%, 연립다세대주택 6.8%, 단독주택 8.3% 순으로 나타났고 지역별로는 수도권 6.1%, 지방은 7.7%로 나타났다.
10월 전월세전환율은 가을 이사철 수요가 마무리 되며 하락세가 다소 주춤한 가운데 서울 주택종합 전월세전환율은 저금리 기조에 따른 월세 전환물량 증가와 준전세 계약 증가 등으로 전달 대비 0.1%p 하락하며 3개월 연속 하락했다.
주택종합 시도별로는 세종이 5.4%로 가장 낮고 경북이 9.6%로 가장 높았다. 전남(7.9%→8.2%), 울산(7.3%→7.5%) 등은 전달 대비 상승했고 세종(5.6%→5.4%), 광주(7.4%→7.3%) 등은 하락했다.
주택 유형별로는 아파트(4.8%→4.8%), 연립다세대(6.8%→6.8%), 단독주택(8.3%→8.3%) 순으로 나타나 모든 유형에서 전달과 동일한 전환율을 보였다.
수도권은 아파트 4.6%, 연립다세대 6.4%, 단독주택 7.6%를 기록했고 지방은 아파트 5.6%, 연립다세대 9.2%, 단독주택 9.8%를 기록했다.
한편 전월세전환율은 전세금을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되는 비율이다. 이 비율이 높으면 상대적으로 전세에 비해 월세 부담이 높다는 의미이며 낮으면 반대를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