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특성별 빈곤율 및 빈곤갭/자료=한국은행
개인특성별 빈곤율 및 빈곤갭/자료=한국은행

66세 이상 은퇴연령층의 빈곤율이 48.1%에 달했다. 우리나라 노인의 절반 이상은 빈곤 상태로 '노후빈곤'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다.

20일 통계청·금융감독원·한국은행이 발표한 '2016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66세 이상 은퇴연령층의 빈곤율은 48.1%로 집계됐다. 빈곤율은 전체 인구에서 빈곤선(균등화소득의 중위소득 50%) 미만인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로 상대적 빈곤율을 말한다.

상대적 빈곤율은 2011년 16.6%, 2012년 16.5%, 2013년과 2014년 각각 16.3%에서 2015년 16.0%까지 낮아졌다. 기초연금, 맞춤형 급여 도입으로 복지확충이 개선돼 빈곤율이 낮다졌다는 해석이다.

은퇴연령층의 빈곤율 역시 2014년 48.3%에서 2015년 48.1%로 0.2%포인트 낮아지는 추세다. 다만 아동연령층 11.5%, 근로연령층 11.1%에 비해 4배 이상 높아 노후빈곤의 우려가 높아졌다.

지난 3월 현재 가구주가 은퇴하지 않은 가구 중 가구주와 배우자의 노후를 위한 준비상황이 '잘 됐다'고 응답한 가구는 8.8%에 그쳤다. '잘 돼 있지 않은 가구'는 37.3%, '전혀 준비 안 된 가구'도 19.3%나 됐다. '전혀 안 됐다'고 응답한 가구는 2015년 17.4%에서 2016년 19.3%로 1.9%포인트나 늘었다.

가구주의 예상 은퇴 연령은 66.9세, 실제 은퇴 연령은 61.9세로 5년의 격차를 보였다. 가구주가 은퇴한 가구는 16.3% 수준으로 전년(15.1%)보다 1.2%포인트 증가했다. 가구주와 배우자의 월평균 최소생활비는 183만원, 적정생활비는 264만원으로 조사됐다.

가구주가 은퇴한 가구를 보면 생활비 충당 정도가 '여유 있는 가구'는 8.7%에 불과한 반면 '부족한 가구'는 39.0%, '매우 부족한 가구'도 21.5%로 나타났다. 생활비를 마련하는 방법은 공적 수혜금(30.6%), 가족 수입 및 용돈(28.0%), 공적연금(22.4%), 개인 저축액 및 사적연금(9.8%), 임대수입 등 기타(9.2%) 순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