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가 질병관리본부와 함께 로밍 빅데이터를 활용해 내년 1월부터 해외 감염병 예방에 나선다고 21일 밝혔다.

곽숙영 질병관리본부 감염병관리센터장과 김규태 LG유플러스 사업협력담당은 이날 LG유플러스 용산사옥에서 해외유입 감염병 차단을 위한 정보교류 업무협약식을 맺었다.

21일 LG유플러스 용산사옥에서 곽숙영 질병관리본부 감염병관리센터장(왼쪽)과 김규태 LG유플러스 사업협력담당이 해외유입 감염병 차단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은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LG유플러스
21일 LG유플러스 용산사옥에서 곽숙영 질병관리본부 감염병관리센터장(왼쪽)과 김규태 LG유플러스 사업협력담당이 해외유입 감염병 차단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은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LG유플러스

이에 따라 질병관리본부가 스마트 검역정보시스템을 통해 해외 감염병 오염지역 정보를 LG유플러스에 제공하면 LG유플러스가 로밍 빅데이터를 확인해 해외 감염병 오염지역을 방문한 고객의 정보를 질병관리본부에 제공하게 된다.
이후 질병관리본부는 감염병 오염지역을 방문한 LG유플러스 고객 정보를 활용해 감염병 오염국가 방문자에게 감시기간(최대 21일) 동안 감염병 신고 안내 등의 문자메시지를 발송한다.


또 전국 의료기관에 감염병 오염국가 방문자 정보를 공유해 감염병 증상발현이 의심될 경우 담당 의사가 여행정보를 바로 확인할 수 있도록 했다.

김규태 사업협력담당은 “향후 해외 신·변종 감염병이 유입될 경우 로밍 빅데이터를 활용해 감염병 유입을 조기에 발견하고 감염 경로 파악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질병관리본부와 협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