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정원. /사진=뉴스1 |
국정원이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에 조직적으로 관여했다는 의혹이 나왔다. 오늘(4일) 박영수 특별검사팀은 블랙리스트와 관련, 국정원 정보관이 문체부 직원 등과 교류를 통해 작성·활용 과정에 개입한 정황을 포착해 수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지난달 26일 김기춘 전 청와대 비서실장과 조윤선 문체부 장관의 자택, 세종시 문체부 청사 등에 대해 대대적 압수수색을 벌였다.
이 과정에서 문체부 직원들이 국정원 정보관과 주고받은 각종 문건과 메시지, 국정원 정보관들의 정부세종청사 출입 기록 등을 토대로 국정원이 문체부와 수시로 교류하면서 블랙리스트 작성·활용 과정에 개입한 단서가 드러난 것으로 전해졌다.
국정원이 진보 단체의 동향을 파악해 청와대에 보고하면, 관련 내용이 수시로 문체부에 전달됐다는 의혹도 언론 보도를 통해 제기된 바 있다. 최근 조현재 전 문체부 제1차관은 언론 인터뷰를 통해 지난 2013년 3월부터 2014년 7월 재임 시절 '진보 성향 예술단체에 대한 지원을 통제해야 한다'는 국정원 보고서를 봤다고 주장했다.
특검팀은 최근 김소영 전 청와대 문화체육비서관 등 청와대 관계자로부터 "블랙리스트는 실제 존재한다. 교육문화수석실이 리스트를 작성했고, 그 내용을 문체부에 하달했다"는 진술 등을 확보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특검팀은 제기된 모든 의혹과 관련해 국정원 관계자 소환 등을 검토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문체부 직원들이 국정원 정보관과 주고받은 각종 문건과 메시지, 국정원 정보관들의 정부세종청사 출입 기록 등을 토대로 국정원이 문체부와 수시로 교류하면서 블랙리스트 작성·활용 과정에 개입한 단서가 드러난 것으로 전해졌다.
국정원이 진보 단체의 동향을 파악해 청와대에 보고하면, 관련 내용이 수시로 문체부에 전달됐다는 의혹도 언론 보도를 통해 제기된 바 있다. 최근 조현재 전 문체부 제1차관은 언론 인터뷰를 통해 지난 2013년 3월부터 2014년 7월 재임 시절 '진보 성향 예술단체에 대한 지원을 통제해야 한다'는 국정원 보고서를 봤다고 주장했다.
특검팀은 최근 김소영 전 청와대 문화체육비서관 등 청와대 관계자로부터 "블랙리스트는 실제 존재한다. 교육문화수석실이 리스트를 작성했고, 그 내용을 문체부에 하달했다"는 진술 등을 확보한 것으로도 알려졌다. 특검팀은 제기된 모든 의혹과 관련해 국정원 관계자 소환 등을 검토하고 있다.
한편 블랙리스트는 지난 2014년 문화예술계 인사에 대한 검열, 지원 배제 등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문건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