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주신도시 옥정 센트럴파크 푸르지오. /사진=대우건설
양주신도시 옥정 센트럴파크 푸르지오. /사진=대우건설
지난해 경기도 7개 시 아파트의 매매가 대비 전셋값 비율(전세가율)이 크게 변한 것으로 조사됐다.
용인·고양·파주·수원의 경우 전세가율이 처음으로 80%대에 진입했으며 양주·평택은 70%대, 과천도 처음으로 60%대를 넘어섰다.

16일 업계와 부동산114 자료 등에 따르면 지난해 용인·파주·고양·수원의 전세가율은 각각 81.5%·80.3%·80.1%·80.0%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80%대 들어섰다.


이들은 2015년까지만 해도 70%대 후반이었던 곳이다. 이에 따라 경기도에서 전세가율이 80%대인 곳은 2015년 3개(군포·의왕·안양) 시에서 지난해 총 7개(군포·의왕·용인·안양·고양·파주·수원) 시로 확대됐다.

2015년 60%대 후반이었던 양주와 평택도 지난해 각각 71.9%와 70%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70%대를 넘었다.

과천도 65.8%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60%대로 올라섰다. 특히 과천은 재건축 대상이 많아 전셋값이 저렴해 전세가율이 높지 않았으나 지난해를 기점으로 높아진 것이 눈에 띈다. 2016년 전세가율이 60%대를 기록하고 있는 지역은 과천을 포함해 총 5개 시·군(하남· 동두천·여주·과천·가평)이다.


전세가율 변화가 컸던 7개 지역의 공통점은 전셋값 상승이 높았다는 것이다. 실제로 7개 시 중 대부분의 지역은 경기도 평균 상승폭(4.09%)을 웃돌았다.

특히 양주의 경우는 전셋값이 8.41% 오르면서 경기도 평균 보다 2배 이상 올랐다. 이는 지난 해 말부터 옥정 센트럴파크 푸르지오를 필두로 양주신도시 새 아파트 입주가 본격화 되면서 인구 유입이 늘어나자 전셋값도 동시에 크게 오른 것으로 풀이된다.

용인(4.00%)과 평택(2.09%)의 경우 전셋값 상승폭이 경기도 평균에는 못미치지만 같은 지역 매매가와 비교하면 전셋값 오름폭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과천의 경우는 매매가와 전셋값이 모두 큰 폭으로 오르면서 전세가율이 단숨에 60%대로 뛰었다. 실제로 과천은 현재 재건축 기대감으로 아파트값이 15%가량 올랐고 재건축(래미안 과천 센트럴스위트)에 따른 이주수요로 전세를 찾는 수요가 늘며 전셋값도 11% 이상 올랐다.

업계 관계자는 “전세가율이 높아진다는 것은 매매가와 전셋값 차이가 크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실수요자 입장에서는 전세에서 매매로 갈아 탈 수 있는 기회가 생기는 만큼 새 아파트를 중심으로 살펴보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