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공=보험개발원
/제공=보험개발원
은퇴를 앞둔 40~50대(이하 4050세대)가 대부분 국민연금에 노후준비를 의존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17일 보험개발원의 '2016 은퇴시장 리포트'에 따르면 2015년 기준 4050세대(1956년~1975년생)는 약 1649만명으로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33.2%를 차지한다. 10년 후인 2025년에도 인구수(50~60대)가 약 1628만명으로 유지돼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31.3%를 차지할 것으로 추정된다.

올해부터 50대에 이어 40대의 은퇴도 본격화되면서 2015년 4050세대 은퇴가구는 약 26만 가구에서 10년 후인 2025년 267만 가구로 증가할 전망이다.


은퇴가구가 가파르게 증가하는 가운데 은퇴 준비는 미흡한 수준이다. 보험개발원이 30~50대 비은퇴자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들이 생각하는 노후 월 적정생활비는 부부기준 271만원, 개인기준으로는 163만원이었다. 최소생활비와 적정생활비의 차이는 부부기준으로 73만원, 개인기준 48만원으로 적정한 노후생활을 보내기 위해서는 차액만큼의 노후소득이 추가로 필요한 상태다.

하지만 은퇴가 가까운 비은퇴자는 여전히 국민연금에 의존하는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40~50대의 노후준비 방법은 국민연금 등 공적연금이 51~71%에 달했다.

국민연금은 월 소득 200만원을 기준으로 중간에 한 번도 미납하지 않고 40년을 꼬박 넣어야 간신히 소득대체율(소득 대비 연금액) 40%대를 달성할 수 있다. 월 200만원의 소득을 가진 사람이 소득대체율 42%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20세에 국민연금에 가입해 59세까지 중단 없이 보험료를 납입해야 하는 셈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높은 청년실업률과 실직 등의 상황을 고려했을 때 이는 달성하기 어려운 수치로 분석된다.


특히 소득대체율은 소득이 높을수록, 가입기간이 짧을수록 더 낮아지기 때문이다. 예컨대 월 200만원 이상 버는 사람은 40년간 꼬박 국민연금을 납입해도 채 40%도 소득을 대체하기 어렵다. 국내 평균소득자의 공적연금 소득대체율은 39.3%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평균 52.9%보다 크게 낮은 상황이다.

따라서 희망노후소득과 국민연금 간 소득을 메우기 위해서는 개인연금을 보유해야 하지만 현재 40~50대의 40%만 개인연금을 내고 있었다. 1인당 개인연금 보유 계좌수는 평균 1.21개였으며 보유하고 있는 개인연금 계좌수가 1개라고 답한 응답자만 83%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60세 이상 고연령의 개인연금 가입률은 남자 8.8%, 여자 8.0%에 불과했다. 고연령의 가입률이 낮은 이유는 신규 가입자가 적고 연금보험의 유지율이 낮기 때문이다.

이에 보험개발원은 "안정적인 노후생활을 위해 국민연금을 보충할 사적연금 가입이 필수적"이라며 "세제혜택을 확대해 은퇴를 대비하기 위한 사적연금의 역할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퇴직 후 국민연금 개시 연령 전까지 소득공백 구간기에 연금을 지급하는 가교연금에 대한 비은퇴자의 관심이 커지고 있는 만큼 정년퇴직과 동시에 은퇴를 결정하는 준고령자를 대상으로 특화된 상품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