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북촌 한옥마을. /사진=뉴시스 DB |
북촌은 서울에서도 가장 오랜 역사를 갖는 유서 깊은 마을이자 지역 고유의 정취와 분위기가 잘 보존된 종로구 가회동·계동·삼청동 등 일대를 말한다.
서울시는 2001년 북촌가꾸기 사업의 시작과 함께 한옥등록제 시행, 한옥매입 및 활용, 한옥 개·보수 지원 등 다양한 정책을 통해 한옥주거지를 보전해 왔다.
서울시는 여기에 더해 제도적인 차원에서 장기 계획을 수립해 북촌 한옥과 고유한 정주환경 보전을 위한 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해 나가기 위한 도시관리계획 수립 필요성에 따라 2007년과 2010년 지구단위계획을 수립했다.
하지만 주요 가로변을 중심으로 진행되던 상업화가 현재는 주거밀집지까지 확대됐고 이에 따라 상업시설 등이 만들어내는 소음, 냄새 등으로 정주환경이 열악해졌다. 상업용도 한옥의 외관 변형, 옥외광고물 난립, 주차공간 부족, 프렌차이즈 업체의 골목상권 잠식 등은 북촌의 새로운 현안사항으로 대두됐다.
특히 북촌 방문 관광객의 급속한 증가로 인한 소음 발생, 쓰레기 무단투기, 주거시설 무단침입 등은 북촌 주민들에게는 피부에 와 닿는 실질적 문제점으로 다가왔다.
주요 재정비 사항으로는 ▲기존 지구단위계획 운영실태 조사·분석 ▲급격한 상업화 및 관광지화에 따라 악화된 정주환경 개선 ▲젠트리피케이션 현상 대응을 위한 골목상권 보호 대책 ▲마을재생을 위한 주거환경관리사업구역 지정 등이다. 서울시는 이를 통해 제도적 차원의 도시관리계획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아울러 주민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적극적인 주민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오는 24일 삼청동 주민센터에서 용역 착수보고회를 연다.
정유승 서울시 주택건축국장은 “북촌은 서울의 대표 전통주거지로서 2001년 북촌가꾸기 사업을 시작으로 민관이 협력하고 노력해 오늘날 명소로서의 모습을 갖추게 된 지역”이라며 “앞으로도 북촌의 독특한 경관 조성·유지, 정주환경 보전 등 살기 좋은 북촌 만들기를 위한 여러 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해나가는데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