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퇴골두 무혈성 괴사’란 골반뼈와 맞닿고 있는 넓적다리 뼈의 윗쪽 끝부분인 대퇴골두가 혈액순환이 안되면서 뼈조직이 썩는 질환이다. 괴사된 뼈에 압력이 지속적으로 가해지면서 괴사 부위에 골절로 인해 통증이 시작되고, 이어서 괴사 부위가 함몰되어 고관절 자체의 손상이 나타난다.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는 다른 질환보다는 생소하지만 고관절 질환의 70%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질환이다. 이 질환의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과다한 음주, 스테로이드의 사용, 신장 질환, 통풍 등 다양한 위험 인자가 존재한다.
발병 초기에는 특별한 증상이 없기 때문에 쉽게 알아차리지 못하지만 괴사가 진행된 후 골절이 발생하면서 엉덩이와 넓적다리 주변에 통증이 나타난다. 점차 걷거나 계단을 오를 때 절뚝거리게 되고, 괴사부위가 함몰되면서 다리 길이에 변형이 생길 수 있다. 특히 고관절을 과도하게 사용하는 양반다리나 쪼그려 앉는 자세는 골반과 사타구니 부위에 심한 통증을 유발한다.
![]() |
비교적 괴사가 심하지 않은 1기나 젊은 20-30대 환자의 경우 약물치료와 고관절 보존 치료를 시도하는 것이 좋고, 통증을 느끼기 시작한 2기부터는 어느정도 괴사가 진행된 상태임으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일상생활이 불편할 정도로 괴사가 심각한 3,4기에는 인공관절 수술을 통해 치료가 가능하다. 인공관절 수술은 몸 속에 안전한 세라믹과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인공관절을 삽입하여 고통을 감소시켜 준다.
또 수술 후 재활 운동은 인공관절의 운동 범위를 결정하고 수명 단축 및 연장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환자 상태에 맞춘 재활훈련과 관리를 꾸준히 해주는 것이 중요하다.
박원장은 “수술 후 체계적인 재활운동 뿐 아니라 인공관절 탈구를 예방하기 위해 고관절을 과도하게 쓰는 좌식생활은 당분간은 삼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